교과목 성취평가 안내
목적
- 재학생들의 교과목별 수강 전·후 성취평가를 통하여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여 수업의 질 관리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 교과목 성취평가 도입으로 인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교육의 질 향상
교과목 성취평가 기간 및 방법
- 사전진단 조사: 개강 후 2~3주(수강 정정 이후 수업일수 2~3/16) 수업 시간 중에 안내하여 반드시 1회 시행 할 수 있도록 참여 유도
- 사후진단 조사: 보강주강(수업일수 15/16) 전 14주차에 수업 시간에 안내하여 반드시 1회 시행 할 수 있도록 참여 유도
- 해당 주차 수업 중 스마트폰으로 시행(5분 내외 소요)
과목별 성취평가 진단 내용
- 「교양」 교과목 진단 항목
· 교과 구분: 교양선택, 교양필수, 일반선택
· 수업계획서에 지정된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진단 항목 생성
· 핵심역량 정의서의 행동 지표 단위로 설문 문항을 관리하며, 개인별 학습 수준에 따라 답안 선택
- 「전공」 교과목 진단 항목
· 교과 구분: 전공선택, 전공필수, 교직
· 「전공 교육과정 개발보고서」 전공능력 정의서의 수행목표로 설문 문항을 관리하며,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별로 선택한 수행목표가 성취평가 문항으로 구성되어, 학생 개인별 학습 수준에 따라 답안 선택
- 신학대학, 의과대학, 융합전공, 국제융합전공, 연계전공, 연계·융합학과, 모집중지학과(2020학년도 이전 모집 중지된 학과, 2021학년도 모집중지 예정인 학과)에서 개설된 전공과목과 교직과목, “대가길라잡이”, “자기학습설계I,II”, “국내현장실습”, “해외현장실습”, “창업현장실습” 과목은 제외
4. 유의사항
- 교육 및 수업의 질 관리를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되니 학생들의 솔직한 「자가진단작성」 및 필수 작성
- 「자가진단작성」은 1회 작성 완료 시 수정이 불가하므로 신중하게 작성 요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