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Notice

[기업금융전공] CFA 자격증 정보

날짜 :
2021-04-06
조회수 : 146

CFA

Chartered Financial Analyst ]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제자격증
(2) 시행기관 : 미국 CFA 협회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cfainstitute.org

2. 자격정보

(1) CFA
  ① CFA란 Chartered Financial Analyst의 약자로서, 미국투자관리 및 연구협회인 CFA Institute에서 1963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증권금융, 재무관리분야의 자격시험을 말한다. 공인재무분석사 또는 국제재무분석사라고 한다.
  ② CFA는 증권업계나 증권 유관기관에 주로 종사하고 있으며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리스크매니저, 신용분석가, 증권사 딜러 및 브로커, M&A전문가로 활동한다.

(2) 자격 특징
  ① CFA 자격시험은 미국 투자관리 및 연구협회인 CFA Institute에서 1963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는 응시자가 100,000명이 넘었다고 한다.
  ② CFA는 미국 증권업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지는 자격증으로, Analyst나 Fund Manager가 갖춰야 할 직업윤리와 그 능력에 관한 실질적인 자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③ CFA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에 걸쳐 3단계의 시험에 순차적으로 합격해야 하고, 동시에 4년 이상의 투자 관련 분야 실무 경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3.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 제한이 있다. 4년제 대학 학사학위 취득자, 혹은 Level 1 시험 응시연도에 학사학위 취득 예정자, 학사학위가 없는 경우 4년간의 실무경력이 인정되어야 응시할 수 있다.

(2) 시험과목

Topic AreaLevel ⅠLevel ⅡLevel Ⅲ

ㆍ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소계)

15%

10%

10%

ㆍ Investment Tools(소계)

50%

30-60%

0%

Quantitative Method
Economics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Corporate Finance

12
10
20
8

5-10
5-10
15-25
5-15

0
0
0
0

ㆍ Asset Classes(소계)

30%

35-75%

35-45%

Equity Investments
Fixed Income
Derivatives
Alternative Investments

10
12
5
3

20-30
5-15
5-15
5-15

5-15
10-20
5-15
5-15

ㆍ Portfolio Management &Wealth Planning(소계)

5%

15-15%

45-55%

Total(총계)

100%

100%

100%

※ 년마다 출제비중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며, 때로 혼합된 과목의 형태로 출제될 수 있다.

(3) 시험유형

세션Level ⅠLevel ⅡLevel Ⅲ총점

오전
(3시간)

MCQ 120문제
(3지선다형)

Item Set 10문제
(MCQ 60문제)

Essay 11문제

180점

오후
(3시간)

MCQ 120문제
(3지선다형)

Item Set 10문제
(MCQ 60문제)

Item Set 10문제

180점

  ① MCQ(Multiple Choice Question)
객관식으로 4지가 아니라 3지 선다형 형식으로 출제되고 각 문제들의 배점은 각각 1.5점이다.
  ② Item Set
Item set이란 긴 지문의 상황을 주고, 그 상황에 대한 이해여부를 물어보는 출제경향을 말한다. 10개의 상황들(vignette 또는 case statement)이 주어지고, 각 상황 아래 6개의 MCQ 문제들이 출제된다. 이 MCQ 문제들 역시 3지 선다형으로 각 문제들의 배점은 3점이다.
  ③ Essay
에세이는 서술형으로 답하는 문제들이 아니라 표를 작성하거나 간단히 요점중심으로 의견을 제시하는 문제들이다. 11문제가 출제되며 각 문제마다 할당된 시간이 있다. 총 180분이다.

(4) 합격기준
  ① 합격자 결정방식은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를 혼용한 방법으로 결정된다. 합격자 수를 사전에 결정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보면 절대평가 방식이지만 시험성적이 최상위 1%에 해당하는 응시자들의 평균점수의 70%에 해당하는 점수가 최저 합격점수가 된다는 것은 상대평가 방식을 따른다. 예를 들어 100점 만점 기준시 응시자의 상위 1%가 평균 90점을 맞았다면, 90 × 0.7(70%) = 63점이 최저합격점수가 된다. 시험 총점이 없고 단지 합격/불합격 결과만 나온다.
  ② CFA Level Ⅰ, Ⅱ, Ⅲ 3차 시험을 합격하고 최종적으로 4년간의 실무경력 요건을 충족해야 CFA 자격을 받을 수 있다. 4년간의 실무경력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는 3차 시험을 합격하였다 하더라도 자격증이 나오지 않고 4년간의 실무경력 요건이 충족되는 시점에 자격이 부여된다. 실무경력은 CFA 시험 등록 전의 해당경력도 인정된다.

(5) 시험일정과 장소
  ① CFA 시험은 원칙적으로 1년에 한 번,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 Level Ⅰ, Ⅱ, Ⅲ이 동시에 실시된다.
  ② CFA시험은 매년 6월 첫 번째 주 토요일(한국은 일요일)에 실시했었지만, 2018년부터는 6월 넷째 토요일(한국은 일요일)에 실시할 예정이다. 한국에서 일요일에 실시하는 이유는 미국과의 시차를 고려한 것이다.

4. 활용정보

(1) 취업 : CFA의 경우 국제자격증으로 우리나라의 실정법상 특정한 면허나 자격을 부여받지 못한다. 그러나 시험의 난이도와 국제자격증의 우대로 각종 대기업, 공사공단 등 취업과 실무, 승진시 우대받는 국제자격증 중의 하나이다. 기업내부에서도 자격증의 취득을 권장하고 있다.

5. 자격증 관계도

CFA 자격증 관계도

CFP(국제공인 재무설계사) : CFP와 CFA는 모두 재무분석과 관련된 자격증으로 CFA는 주로 기업 재무 분석을 업무로 하고 CFP는 개인재무를 위주로 한다. CFP를 따기 위해서는 AFPK(개인재무설계사)를 취득해야 한다. AFPK의 경우 이 시험을 주관하는 한국 FPSB에 등록된 기관에서 AFPK 교육과정을 먼저 수료해야 한다.
FRM(재무위험관리사) : FRM과 CFA는 기업재무 분석과 관련된 자격증으로 그 중 FRM은 금융기관과 기업체의 각종 금융위험을 예측, 분석하여 관리하는 금융전문가를 말한다. 국내 FRM과 국제 FRM이 있는데, 금융권 회사에서 우대받거나 가산점을 받는 FRM은 보통 국제 FR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