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사업추진본부
RISE Project Implementation Headquarters
RISE Project Implementation Headquarters
9개 사업단 참여, 지역과 함께하는 미래 전략 논의대구가톨릭대(총장 성한기)가 경북권 최대 규모의 RISE 사업을 본격 추진함에 따라, 사업 추진 방향과 협력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대구가톨릭대는 지난 8월 29일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대구가톨릭대와 함께하는 RISE 지역 혁신을 통한 동반 성장 워크숍’을 열고, RISE 사업에 대한 공동 이해와 각 사업단의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지자체와 대학 간 유기적 협력 모델을 마련했다.이날 행사에는 성한기 총장을 비롯한 김용찬 미래전략부총장(RISE사업추진본부장), 박대현 경상북도 RISE 센터장, 지자체 및 대학 내 9개 RISE 사업단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워크숍은 개회식과 축사를 시작으로, 박지순 경상북도 RISE센터 선임연구원이 ‘경상북도 RISE 사업 추진방향과 지역기업 협업 방안’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이어 윤협상 대구가톨릭대 RISE사업추진부본부장이 ‘우리 대학 RISE 사업 현황 및 계획’을 발표하며 대학 차원의 실행 전략을 제시했다.이후 각 사업단별로 ‘지역 혁신을 통한 동반 성장’을 주제로 지산학연 협의체 간담회가 진행되며, 사업간 연계와 실천 전략을 구체화했다.토의에는 ▲K-U시티사업단 ▲천연물연구혁신사업단 ▲AI·DX혁신인재사업단 ▲모빌리티디지털전환사업단 ▲바이오헬스실무인재양성사업단 ▲CUBE사업단 ▲이주주민사회통합지원혁신사업단 ▲평생교육체제혁신사업단 ▲U-늘봄사업단 등 총 9개 사업단이 참여했다.성한기 총장은 격려사를 통해 “대구가톨릭대는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11개 과제에 선정되며, 경북권에서 가장 많은 RISE 사업비를 확보했다”며 “이는 대학이 지역사회와 지역 기업에 젊은 에너지를 공유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추진력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대구가톨릭대는 2025년 RISE 본평가에서 지정형 5개, 공모형 6개 등 총 11개 과제에 선정되어 5년간 약 763억 원의 국비를 확보하며, 경북권 거점대학 중 최대 규모의 지원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1시군-1대학-1특성화’ 기반 K0U시티 프로젝트, 초등 돌봄·교육 거점 RISE U-늘봄사업, 이차전지 재사용 분야의 K-IVY 프로젝트: REGO 등 지역 수요 기반의 혁신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앞으로 대구가톨릭대는 지·산·학·연·관이 함께하는 구조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지역 산업·교육·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성과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출처 : https://www.cu.ac.kr/introduction/result/press?mode=view&mv_data=aWR4PTE4MTI5MyZzdGFydFBhZ2U9MSZsaXN0Tm89MSZ0YWJsZT1jc19iYnNfZGF0YSZjb2RlPW5ld3Mmc2VhcmNoX2l0ZW09JnNlYXJjaF9vcmRlcj0mb3JkZXJfbGlzdD0mbGlzdF9zY2FsZT0=||
자세히 보기 ────경상북도 RISE 사업 모빌리티혁신대학(Mobility Innovation Institute, MII)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19일 경북테크노파크에서 열렸다.이번 협약식에는 성한기 총장, 대구대학교 박순진 총장, 영남대학교 최외출 총장, 경북테크노파크 하인성 원장,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송종호 대표와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대승기업, SL㈜, ㈜화신 등 지역 주요 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협약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 전문 인재 양성 △지역 정주 환경 조성 △기업의 모빌리티 산업 전환 지원을 주요 목표로 체결되었다.모빌리티혁신대학은 경북 지역 내 대학, 기관, 기업이 협력하여 모빌리티 산업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산업 기반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 체계로 구성된다. 대구가톨릭대는 모빌리티 디지털 전환(Mobility Digital Transformation, MDX), 대구대학교는 친환경 배터리(Eco-Friendly Battery, EFB), 영남대학교는 미래 자동차 혁신 부품(Innovative Parts for Future Automobiles, IPF) 분야에 특화된 교육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또한, 학부생, 졸업생, 재직자를 대상으로 △혁신아카데미 △루키아카데미 △리부트아카데미 등 실무 중심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역 산업의 수요에 맞는 전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협약 기관들은 자원 공유와 기술적 협력을 통해 지역 기업의 모빌리티 산업 전환을 지원하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이번 협약은 경상북도 RISE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참여 대학과 기관들은 기술 교육과 협력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모빌리티혁신대학은 경북형 지역 혁신 교육 모델을 목표로 운영되며, 경북 지역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출처 : https://www.cu.ac.kr/introduction/result/focus?mode=view&mv_data=aWR4PTE3NzM5NCZzdGFydFBhZ2U9NiZsaXN0Tm89OSZ0YWJsZT1jc19iYnNfZGF0YSZjb2RlPWZvY3VzJnNlYXJjaF9pdGVtPSZzZWFyY2hfb3JkZXI9Jm9yZGVyX2xpc3Q9Jmxpc3Rfc2NhbGU9||
자세히 보기 ────RISE사업추진본부는 교육부 주관 「경상북도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지자체 및 지역 산업체와의 거버넌스 강화 / 지역 발전화 혁신 선도 / 지역 산업 및 사회 수요에 부합하는 핵심 인재 양성을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 및 지역 정주 여건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체계적인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업무를 총괄 조정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1. 사업개요
사업명 : 경상북도RISE사업(경상북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지원기관 :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경상북도RISE센터
총 사업기간 : 2025.3월 ~ 2030.2월(5년)
지원예산 : 5년간 763억원
2. 사업목적
지역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와 지역의 핵심 인적・물적자원 집약체인 대학이 협력적 동반관계를 구축하여 지역 혁신・발전을 이끄는 체계 구축
3.사업 비전/목표
지역인재양성 – 취・창업 – 정주를 통한 지역발전 생태계 구축
“대학이 살리는 지역” 대학의 지역발전 허브화
“지역이 키우는 대학”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