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Professor

_

윤숙영(학과장)

연구실
성토마스관(D9) 307호
전화번호
053-850-3277
이메일
yune1004@cu.ac.kr
전공분야
원예치료 및 화훼장식

추가정보 보기

경력
ㆍ대구가톨릭대학교 정교수(현재)
ㆍ(사)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부회장
ㆍ(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부회장
ㆍ(사)한국화훼학회 상임이사
ㆍ(사)한국원예학회 이사
ㆍ(사)한국꽃꽂이대경협회 독립회장

연구실적(최근 5년)
ㆍ십자가의 길을 테마로 한 가톨릭전례 꽃장식연구, (KCIE)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6:101-115(2022)
ㆍ회상과 감각자극 원예치료가 말기암 환자의 타액산도와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 (KCI)문화와 융합, 44(3):1083-1100
ㆍThe effects of flower therapy on the EEG activity of the frontal lobe in university students, (SCIE)Eur. J. Hortic. Sci., 86(6):629-635
ㆍ절화 장미의 관상 기간 연장을 위한 용기 내의 수분 감소량과 생체중 분석, (KCIE)지식융합연구, 4(1):157-173(2021)
ㆍ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 회상 소재 및 주제 분석, (KCIE)지식융합연구, 4(1):25-47(2021)
ㆍThe Effects of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 on Agricultural Literacy and Hand Function Improvement of Adolescents Living in Self-reliance Residence Hall,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4(3):277-283(2021)
ㆍComponents for Early Childhood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rived from Expert Delphi Research,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4(2):119-135(2021)
ㆍStudy on emotional effects of agro-healing program on COVID-19 trauma among vulnerable groups, (SCOPUS)Res. on Crops, 21(4):783-790(2020)
ㆍAn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on Conjoint Analysis,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3(5):495-506(2020)
ㆍ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otional Chang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 Agro-Healing Program,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3(5):569-578(2020)
ㆍ원예치료 기반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정서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KCIE)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3:57-79(2020)
ㆍ플라워 주얼리의 디자인 트렌드와 표현기법 분석에 관한 연구, (KCIE)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3:123-138(2020)
ㆍ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e-Mathematics Integration Program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Money Calcula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3(3):321-332(2020)
ㆍThe Effectiveness of the ‘One-Table One-Flower’ Program on Job Stress Management of Police Officials,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3(2):201-210(2020)
ㆍAnalysi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ebooks of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3(2):211-220(2020)
ㆍ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by Repeated Training of Horticultural Activities, (SCOPUS)J.People Plants Environ., 23(1):67-75(2020)
ㆍ국내 플라워샵 판매현황에 관한 연구: 품목별 판매율이 높은 화훼상품과 성수기를 중심으로, (KCIE)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2:145-156(2020)
ㆍ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s and Stress Index of Trainees Entrusted to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KCI)J.People Plants Environ., 23(1):47-53(2020)
ㆍ유아를 대상으로 한 숲놀이 활동의 연구 동향 분석, (KCIE)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1:13-24(2019)
ㆍ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감정어휘 변화에 미치는 영향, (KCIE)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41:3-12(2019)
ㆍForest Activities for Developing Emotional Vocabulary and Lowering Cortisol Levels in Kindergarteners, (KCI)J.People Plants Environ., 22(4):385-393(2019)
ㆍFloral Design Courses to Build Self-Esteem in Children Enrolled in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for Low-Income Families: Focused on the Accreditation Process of the Junior Florist Certification, (KCI)J.People Plants Environ., 22(4):375-384(2019)
ㆍThe Effects of Making Horcitultural Products and Selling Activitie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KCI)J.People Plants Environ., 22(3):279-287(2019)
ㆍThe Effects of Floral Arrangement on the Stress Index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and Its Correlation with Cognition, (KCI)J.People Plants Environ.,22(3):269-277(2019)
ㆍEffects of Repetitive Horticultural Activities on Kindergarteners’ Dexterity and Out of Seat Behavior, (KCI)J.People Plants Environ., 22(2):159-165(2019)
ㆍThe Horticultural Activity of Touching Soil and the Autonomic Nervous Stress Response of Patients with Brain Disease, (SCIE)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7(1):151-158(2019)
ㆍComparison of Horticultural Therapy in Korea and Japan: History, Inspiration, and Education, (KCI)J.People Plants Environ., 21(6):533-543(2018)
ㆍ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with Reminiscence Materials and Singing Time on the Ability to Recall Word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KCI)J.People Plants Environ., 21(6):515-521(2018)
ㆍ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Designed to Stimulate Five Senses on the Sensory Development of Children, (KCI)J.People Plants Environ., 21(5):369-378(2018)
ㆍThe Effects of Junior Florist Training Course on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Hand Dexterity of Low-Income Children of Local Child Center, (KCI)J.People Plants Environ., 21(5):393-401(2018)
ㆍEffects of Color Stimuli Application in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Changes in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KCI)J.People Plants Environ., 21(4):263-269(2018)
ㆍ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Lavandula stoechason Vital Signs, Pain, and Sleep Satisfaction of Hospice Patients, (KCI)J.People Plants Environ., 21(4):271-277(2018)
ㆍThe Effects of the Floral Arrangement in a Designated Space on the Visual Perception Motor Coordination Ability and Hand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KCI)J.People Plants Environ., 21(3):213-221(2018)
ㆍEffective Drying Time and Body Moisture Content for Retention of Frame using Branch Material Cornus sericea ‘Flaviamea’, (SCOPUS)Res. on Crops, 19(4):668-672(2018)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최병진

연구실
성토마스관(D9) 305호
전화번호
053-850-3239
이메일
bjchoi@cu.ac.kr
전공분야
식물생리학, 시설원예 및 스마트팜

추가정보 보기

경력
ㆍ대구가톨릭대학교 정교수 (현재)
ㆍ대구·경북6차산업전문인력양성사업단 단장(2014)
ㆍ종묘생산유통연구소장 (2007)
ㆍ한국원예학회 21세기 위원회 위원 (1997)
ㆍ경상북도 화훼 수출 자문 위원 (1997 ~ 1998)
ㆍUniv. of Rhode Island Research Assistant (1987 ~ 1991)
ㆍ농한국방송통신대학 농학과 조교 (1985 ~ 1987)

연구실적
ㆍ상업화 유망 호접란의 다화성 신품종 육성 (2006 ~ 2010)
ㆍ왜철쭉의 수경재배시 체내 대사물질의 변화 (2005)
ㆍ필레아의 내건성에 미치는 Uniconazole의 변화(Ⅰ. 생리변화와 내건성) (2005)
ㆍ필레아의 내건성에 미치는 Uniconazole의 변화(Ⅱ. 잎의 형태변화 및 수분 손실) (2005)

논문
ㆍ재활용품을 활용한 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인식태도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무력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2010)
ㆍ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능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
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부부관계 및 사회문화 적응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
환경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10)
ㆍ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선택반응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시설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09)
ㆍ꽃장식이 입원노인의 감정균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09)
ㆍ꽃장식시 친환경적 고정재료의 활용----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09)
ㆍ감마선 처리가 호접란의 생육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2007)
ㆍ새싹채소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빛과 온도의 영향----자연과학연구논문집(2008)
ㆍEpidermal growth factor 발현을 위한 화분립의 이용----한국생물공학회지(2008)
ㆍ부들의 무기영양흡수에 따르는 전기전도도의 변화----한국환경보건녹화기술학회(2003)
ㆍ장미의 생육단계에 따른 엽중 성분변화----한국화훼연구회지(2002)
ㆍ방사선 조사와 저온저장이 국화삽수의 발근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한국환경생물학회지(2002)
ㆍ관비를 이용한 장미의 상자재배시 양액의 농도가 토양 중 양분 변화와 절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연구회지(2002)
ㆍ장미 삽목묘를 이용한 초밀식 재배 시 관비용액의 농도가 토양 중 무기양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2002)
ㆍ삽목묘를 이용한 초밀식 재배 시 관비용액의 농도가 장미 \'Vital\'의 생육 및 체내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02)
ㆍ장미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삽목용토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00)
ㆍ장미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발근촉진제 및 광도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00)
ㆍ장미의 발근에 미치는 양액농도와 공급시기의 영향----한국원예학회(2000)
ㆍ국화삽아에 있어 삽수의 부착엽수와 수분함량이 냉장 중 삽수의 손상과 발근 및 묘품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원예학회(2000)
ㆍ국화삽수의 냉장처리 온도, 기간 및 방법과 야간 최저온도가 생육과 개화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2000)
ㆍ국화삽아에 있어서 광도와 분무간격이 발근 및 묘 품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원예학회지(1999)
ㆍ장미의 발근 중 삽수 내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원예과학기술지(1999)
ㆍ장미의 발근에 미치는 광도와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1999)
ㆍ장미의 발근에 미치는 삽목용토와 트레이 규격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1999)
ㆍ절화작약의 pulsing 중 sucrose의 체내이동과 부위별 함량에 관하여----원예과학기술지(1999)
ㆍ무궁화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 : Ⅱ. 저온 및 일장처리가 체내 동화산물의 변화, 발근 및 신초생장
에 미치는 영향----연구논문집(1998)
ㆍ무궁화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1 : 삽수채취시기가 발근과 체내동화산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논문집(1998)
ㆍEffect of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cuttings on the carbohydrate content in cuttings
and rooted cuttings of chrysanthemum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XXV International
Horticulture Congress(1998)
ㆍ작약의 성재래의 꽃봉오리 성숙단계와 Sucrose가 개화 및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1998)
ㆍ절화거베라의 건식저장에 따른 화경의 만곡과 삽화 후 회복에 관하여----한국원예학회지(1998)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김종혁 (특임교수)

연구실
창업관(B1) 201호
전화번호
053-859-4113
이메일
yuwool@cu.ac.kr
전공분야
치유농업 및 상담심리

추가정보 보기

경력
ㆍ 청도치유농업연구회 이사
ㆍ (사)아그로웰니스 이사
ㆍ 청년농업인연합회 감사
ㆍ 2급 치유농업사양성과정 과정장


연구실적
ㆍ 정원 활동이 노인의 정서와 신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ㆍ 가드닝이 노인의 체질량지수와 골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ㆍ 스마트 식물재배가 대학생의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ㆍ 유럽 치유농업 사례연구 : 6차 산업화와 다기능 농업 중심으로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