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Professor

_

황국웅

연구실
성도미니관(D5, 자연관303)
전화번호
053-850-3180
이메일
kwhwang@cu.ac.kr
전공분야
ㆍ공간분석기법 및 적지분석이론 ㆍ위성영상처리(Remote Sensing)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학사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ㆍ석사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ㆍ박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주요경력

ㆍ한국도로공사 조경과장
ㆍ대구가톨릭대학교 학과장(현)
ㆍ한국조경학회 이사(현)
ㆍ한국지리정보학회 상임이사(현)



전문분야

ㆍ조경계획 및 지리정보체계(GIS)



박사학위논문

1. 황국웅 (1994)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상수도시설물 관리 정보체계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국내학술지논문

1. 이규석, 황국웅(1992) "조경공사내역서 계산자동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권 2호
2. 황국웅, 외 3인(1993) "공원수목관리 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 한국조경학회지 21권 3호
3. 이규석, 황국웅(1994) "한국형 토지정보체계 구축에 있어서 지번의 효과적인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2권 1호
4. 황국웅, 이규석(1994)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상수도시설물 관리 정보체계 개발",한국측지학회지 12권 2호
5. 황국웅, 이규석(1996) "토지정보체계의 객체지향 도형정보 데이터베이스 개발",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4권1호
6. 이규완, 황국웅(1996) "CAD를 활용한 도시공원 식생경관 보전방안 ",환경생태학회지 10권 1호
7. 우창호, 황국웅(1996) "GIS를 이용한 대규모 단지개발지의 침식량 추정과 합리적인 자료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권 3호, pp. 115-132.
8. 황국웅, 이규완(1998) "생태 및 시각특성을 기초로 한 무등산 도립공원의 경관평가",환경생태학회지 12권 1호, pp. 14-21
9. 우창호, 황국웅(1998) "GIS를 이용한 USLE 지형인자(LS) 자동계산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권 3호, pp. 162-177
10. 우창호, 황국웅(1999) "토사유출방지용 침사지 적정규모 설정방안 연구 - 목포시 부주산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6권 4호, pp.59-69
11. 황국웅, 이규완(2000) "GIS와 다요소의사결정방법(MCE)에 의한 김해대청공원 집단시설지구 적지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권 3호, pp.41-49.
12. 황국웅, 박소윤(2003)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경관규모 생태계평가기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권1호, pp.78-84.
13. 황국웅, 엄붕훈(2003) "환경친화적 지역개발을 위한 봉화군의 자원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권2호, pp.10-21.
14. 황국웅, "지리정보체계(GIS)와 계층분석과정(AHP)를 이용한 토지자원 평가"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6권 4호
15. 황국웅 외 3인, "도시성장분석상 위성영상자료와 구역자료의 통합이용에 관한"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권 3호 1-12p.
16. 황국웅 외 1인, "신라 동해구와 관련된 학설 분석과 새로운 제안" (200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권 3호 13-24p.
17. 황국웅 외 1인, "신라 동해구에 대한 지현 경관 분석" (200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권 4호 33-44p.

국제학술발표회 발표논문

1. 황국웅, 이규석 (1995) "PC-Based Water Facilities Information System", GIS '95 Conference

Proceeding, Vol. 1.
-주최 : GIS-ASIA PACIFIC
-장소 : 싱가폴
-기간 : 1995. 10. 30 - 11. 1
2. 우창호, 황국웅 (1999) "A Study on Analysi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lternatives for

Restoration of Land damaged by Poor Development : The Case of Mt. Buju in Mokpo, Korea",

IFLA Eastern Regional Conference '99 논문집
-주최 : 세계조경가협회 동부지역회의 조직위원회
-장소 : 강원도 양양군 낙산비치호텔
-기간 : 1999. 10. 17-20
3. 안계복, 김윤하, 황국웅 (1999) "The Contemporary Use of Traditional Garden Style",

제2차한중일 조경심포지엄논문집
-주최 : 한국조경학회, 중국풍경원림학회, 일본조원학회
-장소 : 중국, 소주(蘇州)
-기간 : 1999. 10. 23-25
4. Expansion and Density Features of Uban Growth,-The Dase, GISA(일본)(2004)
5.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한 적지분석방법에대한 고찰, 제 4회 포스트 발표회 초록집10-10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3)
6. 도시성장분석상 위성영상자료와 구역자료의 실효성 비교, 2004년 춘계 워크숍 및 학술대회

논문 211-224 (2004)

연구과제 보고서

1. 우창호, 황국웅 (1999. 3.)
"GIS를 이용한 대규모 단지개발지의 토양유실량 추정과 토사유출 방지용 침사지의 설계표준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1997년도 자유공모과제 결과보고서.
2. 황국웅 외 4인(2001)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문주변 환경개선사업 기본계획" 대구가톨릭대학교. 23p.
3. 황국웅, 엄붕훈(2002)
"대학캠퍼스 환경개선을 위한 조경설계" 대구가톨릭대학교. 32p.
4. 황국웅 외 2인(2002)
"조건불리 산촌지역의 환경친화적 자원평가 지표체계 구축 및 GIS 모형 현장 적용" 농림부. 333p.
5. 황국웅(2003)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경관규모 생태계 평가기법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1년도 지방대

학육성지원사업에 의한 연구과제 결과보고서.
6. 망정 우로지 자연생태공원 기본계획 기본설계(2006), 영천시

편저 및 편역서

1. 황궁웅 외 8인, 녹을 창조하는 식재기반 (2003)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윤숙영

연구실
성토마스관(D9) 307호
전화번호
053-850-3277
이메일
yune1004@cu.ac.kr
전공분야
원예치료 및 화훼장식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일본 화도가원 수료(2010)
ㆍ독일 그륀베르그 플로리스트학교 수료(2008)
ㆍ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원예학과 농학박사(2007)
ㆍ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플로랄디자인학과 미술학석사(2002)
ㆍ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1995)

경력
ㆍ대구가톨릭대학교 정교수(현재)
ㆍ(사)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이사
ㆍ(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 이사
ㆍ(사)한국화훼장식학회 이사
ㆍ(사)한국실내조경협회 이사
ㆍ(사)한국꽃꽂이대경협회 독립회장

논문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능력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논문(2002)
ㆍPincus의 재활실천이론에 근거한 원예치료적용이 치매노인의 일상 활동 기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 논문(2007)
ㆍ치매노인의 인지능력 향상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꽃장식과 식물 기르기의 영향----J.Kor.Flower Res.Soc.(2002)
ㆍ치매노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꽃장식의 효과와 꽃의 선호도 조사----J.Kor.Flower Res.Soc.(2002)
ㆍ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효과----J.Kor.Flower Res.Soc,(2003)
ㆍ치매노인의 기억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효과----J.Kor.Flower Res.Soc.(2002)
ㆍ원예치료가 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2003)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주의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2005)
ㆍ양로원 노인의 우울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J.Kor.Flower Res.Soc.(2005)
ㆍ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2008)
ㆍ아동과 연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j.kor.soc.PeoplePlantsEnviron.(2009)
ㆍUse of environment-friendly fixing materials in flower arrangement----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2(5);9-13(2009)
ㆍ허브공예와 아로마 요법이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정서와 인성에 미치는 영향----kor.soc.PeoplePlantsEnviron.(2009)
ㆍ꽃장식이 입원노인의 감정균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09)
ㆍ대구세계차(茶)문화축제에 사용된 다화(茶花)의 종류 및 작품특성----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09)
ㆍ판매촉진을 위한 플라워 샵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경영자 분석----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09)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J. of Agriculture & Life Science.(2009)
ㆍEffect of window display design for flower shop on customers' buying desire----J. of Agriculture & Life Science.(2009)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Kor. J. Hort. Sci. Technol.(2009)
ㆍ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선택반응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3(4);23-28.(2010)
ㆍ도시농업 및 원예치료 프로그램용 쑥 종묘의 유통기술개발----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0)
ㆍEffect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on demented elder's reaction time to external stimuli----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0)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스트레스 및 혈중코티졸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Kor. J. Hort. Sci. Technol.(2010)
ㆍ식물심기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2)
ㆍ원예활동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적응과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2)
ㆍ원예활동이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3)
ㆍ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상태불안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3)
ㆍ원예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아동의 자기 표현력과 정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2013)

저서
ㆍ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장식학(공저)----부민문화사(2010)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최현석

연구실
성토마스관(D9) 330호
전화번호
053-850-3279
이메일
hchoiuark@cu.ac.kr
전공분야
식물생리 및 생태학 (Plant Physiology and Ecology)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University of Arkansas Plant Science Ph.D. (2009)
ㆍ전남대학교 대학원 농학석사(2002)
ㆍ전남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과(2000)

경력
ㆍ농촌진흥청 유기농업과 현장명예연구관(2014~현재)
ㆍ화훼원예학과 학과장(2014)
ㆍ대구가톨릭대학교 조교수(2013∼현재)
ㆍ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 박사후연구원(2010∼2012)
ㆍUniversity of Arkansas Research Assistant(2005∼2009)

연구분야
ㆍ식물생리및 생태학 Plant Physiology and Ecology

연구실적
ㆍ신규 유기농경지 조기 숙전화를 위한 유기물 시용 체계 확립(2012)
ㆍ유기재배 밭토양의 시비처방기준 현장실증(2010∼2011)
ㆍ유기재배 시스템에 따른 사과과수의 잎과 토양 내 시기별 무기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2004∼2009)

수상
ㆍ한국유기농업학회 젊은연구원상(2014)
ㆍ한국환경농학회 신진과학자상(2013)
ㆍ국립농업과학원장상(박사 후 연구원부문, 2011)

논문
ㆍFruit characteristics of muskmelon cultivars in six regions in South Korea - Journal of Food, Agriculture & Environment(2012)
ㆍGrowth and fruit production in young 'Fuji' apple trees as affected by time of downward bending of branches - The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Biotechnology(2012)
ㆍEffect of the timing and duration of downward bending of branche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 Mishima' apple trees - The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Biotechnology(2012)
ㆍComparison of Soil Nutrition, Tree Performance, and Insect and Disease Occurrence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Asian Pear Orchards - Journal of the American Pomological Society(2012)
ㆍMineralized N of plant residues with different C:N ratios under upland and rice paddy condition - Journal of Food, Agriculture & Environment(2012)
ㆍStorability of 'Fuyu' sweet persimmons as affected by 1-MCP and MAP at low temperature - Journal of Food, Agriculture & Environment(2012)
ㆍ파와 고추재배지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윤작에 따른 토양생물상의 변화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2012)
ㆍ유기자재와 강수량이 수수x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 한국유기농업학회지(2012)
ㆍ논토양 조건에서 유기자원별 질소와 인산의 무기화량 추정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2012)
ㆍ저장온도가 석류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2012)
ㆍ유기과수원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초종 특성과 양분공급 추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2012)
ㆍ유기자재 처리가 토양의 양분동태 변화와 수수*수단그라스의 양분이용 효율에 미치는 영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2012)
ㆍ유기자재 시용이 벼의 생육과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 한국유기농업학회지(2012)
ㆍ녹비작물을 이용한 윤작이 잡초 제어에 미치는 영향 - 한국유기농업학회지(2012)
ㆍ유기과수 포장에 자생하는 월년생 초종들의 피복작물로서 평가를 위한 Biomass와 주요 양분공급 잠재능 조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2012)
ㆍ호밀과 헤어리베치 단파 및 혼파가 '신고' 배의 양분공급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2012)
ㆍ'신고' 배나무 개화기간 중 온풍기 가동과 미세살수가 냉해피해 방지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2012)
ㆍ유기질비료 시비가 논토양 화학성 변화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2012)
ㆍ유기질비료의 표층 및 전층시비에 따른 벼 수량 변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2012)
ㆍ배 유기재배에서 녹비작물 재배에 의한 식물양분 환원효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2012)

저서
International Editor
-Sustainability.https://www.mdpi.com/journal/sustainability/special_issues/sustainable_horticultural_practices#published
- Effects of salinity and drought stress on photosynthesis, growth, and development of ornamental plants. In : Handbook of photosynthesis, 3rd edition, USA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최병진

연구실
성토마스관(D9) 305호
전화번호
053-850-3239
이메일
bjchoi@cu.ac.kr
전공분야
식물영양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Univ. of Rhode Island Plant Science PH.D (1987 ~ 1991)
ㆍ서울대학교 대학원 농학석사 (1981 ~ 1985)
ㆍ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원예학 (1977 ~ 1981)

경력
ㆍ원예조경학부 학부장(2015 ~ 현재)
ㆍ원예학전공 전공주임(2015 ~ 현재)
ㆍ원예학과 학과장(2015 ~ 현재)
ㆍ원예치료학과 학과장(2015 ~ 현재)
ㆍ플로랄디자인학과 학과장(2015 ~ 현재)
ㆍ대구·경북6차산업전문인력양성사업단 단장(2014 ~ 현재)
ㆍ종묘생산유통연구소장 (2007 ~ 현재)
ㆍ대구가톨릭대학교 부교수 (1991 ~ 2004)
ㆍ한국 원예 학회 21세기 위원회 위원 (1997)
ㆍ경상북도 화훼 수출 자문 위원 (1997 ~ 1998)
ㆍUniv. of Rhode Island Research Assistant (1987 ~ 1991)
ㆍ농한국방송통신대학 농학과 조교 (1985 ~ 1987)

연구실적
ㆍ상업화 유망 호접란의 다화성 신품종 육성 (2006 ~ 2010)
ㆍ왜철쭉의 수경재배시 체내 대사물질의 변화 (2005)
ㆍ필레아의 내건성에 미치는 Uniconazole의 변화(Ⅰ. 생리변화와 내건성) (2005)
ㆍ필레아의 내건성에 미치는 Uniconazole의 변화(Ⅱ. 잎의 형태변화 및 수분 손실) (2005)

논문
ㆍ재활용품을 활용한 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인식태도 및 확산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무력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2010)
ㆍ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능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
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부부관계 및 사회문화 적응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
환경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10)
ㆍ원예치료가 시설노인의 선택반응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10)
ㆍ원예치료가 시설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09)
ㆍ꽃장식이 입원노인의 감정균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09)
ㆍ꽃장식시 친환경적 고정재료의 활용----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2009)
ㆍ감마선 처리가 호접란의 생육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2007)
ㆍ새싹채소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빛과 온도의 영향----자연과학연구논문집(2008)
ㆍEpidermal growth factor 발현을 위한 화분립의 이용----한국생물공학회지(2008)
ㆍ부들의 무기영양흡수에 따르는 전기전도도의 변화----한국환경보건녹화기술학회(2003)
ㆍ장미의 생육단계에 따른 엽중 성분변화----한국화훼연구회지(2002)
ㆍ방사선 조사와 저온저장이 국화삽수의 발근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한국환경생물학회지(2002)
ㆍ관비를 이용한 장미의 상자재배시 양액의 농도가 토양 중 양분 변화와 절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연구회지(2002)
ㆍ장미 삽목묘를 이용한 초밀식 재배 시 관비용액의 농도가 토양 중 무기양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2002)
ㆍ삽목묘를 이용한 초밀식 재배 시 관비용액의 농도가 장미 \'Vital\'의 생육 및 체내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02)
ㆍ장미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삽목용토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00)
ㆍ장미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발근촉진제 및 광도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2000)
ㆍ장미의 발근에 미치는 양액농도와 공급시기의 영향----한국원예학회(2000)
ㆍ국화삽아에 있어 삽수의 부착엽수와 수분함량이 냉장 중 삽수의 손상과 발근 및 묘품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원예학회(2000)
ㆍ국화삽수의 냉장처리 온도, 기간 및 방법과 야간 최저온도가 생육과 개화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2000)
ㆍ국화삽아에 있어서 광도와 분무간격이 발근 및 묘 품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원예학회지(1999)
ㆍ장미의 발근 중 삽수 내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원예과학기술지(1999)
ㆍ장미의 발근에 미치는 광도와 생장조절물질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1999)
ㆍ장미의 발근에 미치는 삽목용토와 트레이 규격의 영향----원예과학기술지(1999)
ㆍ절화작약의 pulsing 중 sucrose의 체내이동과 부위별 함량에 관하여----원예과학기술지(1999)
ㆍ무궁화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 : Ⅱ. 저온 및 일장처리가 체내 동화산물의 변화, 발근 및 신초생장
에 미치는 영향----연구논문집(1998)
ㆍ무궁화의 삽목발근에 관한 연구1 : 삽수채취시기가 발근과 체내동화산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논문집(1998)
ㆍEffect of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of cuttings on the carbohydrate content in cuttings
and rooted cuttings of chrysanthemum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XXV International
Horticulture Congress(1998)
ㆍ작약의 성재래의 꽃봉오리 성숙단계와 Sucrose가 개화 및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1998)
ㆍ절화거베라의 건식저장에 따른 화경의 만곡과 삽화 후 회복에 관하여----한국원예학회지(1998)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강현우(강사)

연구실
-
전화번호
010-6325-2982
이메일
tml63@hanmail.net
전공분야
ㆍ 학교 비오톱 조성 및 운영 ㆍ 하천 생태계 조사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학사 - 신구대학교 조경학과

ㆍ석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ㆍ박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주요경력

ㆍ두리조경(전문건설업) 대표(현)

ㆍ한국 양서ㆍ파충류생태복원 연구소 연구원(역임)

ㆍ환경부, 국립생태원 전국자연환경조사 조사원(현)

ㆍ인천무척추동물연구회 대표(현)



전문분야

ㆍ조경시공 및 관리, 환경생태계 조사



박사학위논문

1. 강현우 (2015) KJ법을 이용한 학교 비오톱 습지의 관리방안 연구


국내학술지논문

1. 강현우, 외 2인(2011) "물배지의 종류 및 첨가물의 농도가 후피향나무 삽목묘의 발근 및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9(5): 141-152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신혜경(강사)

연구실
-
전화번호
010-4031-0226
이메일
pjw0226@cu.ac.kr
전공분야
ㆍ 조경수목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박사 동경농업대학교 조원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 양화소록에 의한 석창포의 양생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観葉植物による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能とその効率化に関する研究, (관엽식물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으 제거능과 그 효율화에 관한 연구), 東京農業大学大学院農学研究科]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이경은(강사)

연구실
성도미니관(D5, 자연관308)
전화번호
010-4174-1589
이메일
leeke230@cu.ac.kr
전공분야
· 조경계획 및 설계/디자인 · 전통조경

추가정보 보기

학력
학사 - 효성여자대학교 조경학과 / 시각디자인(복수전공) 농학사
석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전통조경계획연구실 이학석사
박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전통조경계획연구실 이학박사


석사학위논문
굴곡성 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연못의 형태적 특성

박사학위논문
한중일 전통연못경관의 형태적 복잡성에 대한 연구

국내학술발표대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 한중일 전통연못경관의 형태적 복잡성에 대한 연구(우수논문상)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 신라시대 경주지역 식생 추정에 관한 연구
2014 한국농촌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 집중도 분석을 통한 경주시·울릉군의 어메니티자원 활용 정책방안(우수논문상)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 군집분석을 통한 경상남도․전라도 별서의 입지적 특성(우수논문상)
2010 한국농촌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 경상북도 전통문화자원의 지역적 분포와 양식적 특성(우수논문상)
2009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 변동계수를 통한 전통연못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학술지논문
이경은, 안계복(2012) 군집분석을 통한 경상남도,전라도 별서의 입지적 특성
안계복, 이경은(2009) 변동계수를 밑바탕으로 한 전통연못의 굴곡성 분석에 관한 연구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김민수(명예)

연구실
성도미니관(D5, 자연관310)
전화번호
-
이메일
mskim@cu.ac.kr
전공분야
ㆍ조경식재학 ㆍ토양물리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학사 -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ㆍ석사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ㆍ박사 - 일본 치바대학 대학원

주요경력

ㆍ신구전문대학 조경과 교수 역임
ㆍ한국조경학과 편집위원장 역임
ㆍ한국조경학회 부회장 역임
ㆍ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부회장 역임
ㆍAssociate Editors-in-Chief International
Consortium of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ICLEE) 역임


주요저서

1. 金敏洙외 5인(1997). 한국수자원공사 조경설계기준
2. 金敏洙외 5인(1997). 한국수자원공사 조경공사시방서
3. 金敏洙외 5인(1997). 조경설계요람, 도서출판 조경
4. 金敏洙 외 8인 (2003), 녹을 창조하는 식재기반, 보문당 , 농림계

논문

1. 金敏洙외 3인(1989). 保水劑の 添加に よる 土壤物理性の 變化 Ⅱ - 保水劑が 毛管上昇高に 與える 影響,일본 치바대 원예학보 42호, 145-153.
2. 金敏洙외 4인(1990)保水劑の 添加に よる 土壤物理性の 變化 Ⅲ - 保水劑が 透水性に 與える 影響,일본치바대원예학보 43호, 65-71.
3. 金敏洙외 2인(1990)マサ土の霜柱發生 機構に 關する 硏究 ,일본 치바대 원예학보 43호, 73-77.
4. 金敏洙외 2인(1990)霜柱發生の 難易に 關與する 土の 物理性,일본 조원학회 논문집 53권 5호, 103-108.
5. 金敏洙외 5인(1991)保水劑の 添加に よる 土壤物理性の 變化 Ⅳ - 保水劑が 土壤構造に 與える影響,일본 치바대 원예 학보 44호,145-153.
6. 金敏洙(1992)熱と 水の 流れから 見た 霜柱の 發生 及び 生長に 關する 硏究,일본 치바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金敏洙외 3인(1992)熱的 變化が 火山灰 土壤の 比表面積 竝びに 水分特性に 與える 影響, 일본 치바대 원예학보 46 호,135-140.
8. 金敏洙외 3인(1992)沿道樹木の 濕害に 與える 要因 - 熊本港線の 事例に ついて, 일본 치바대 원예학보 46호,123-128.
9. 金敏洙외 2인(1993).霜柱の 生長機構に 關する 硏究,일본 조원학회 논문집 56권 5호,133-138.
10. 金敏洙(1994).韓國産 木本複葉植物의 形態的 識別方法에 關한 硏究 ,효성여자대학교문집 제 48집,245-263.
11. 金敏洙(1995).木本植物의 形成層 電氣抵抗에 依한 永久萎凋点 豫測에 關한 硏究,한국조경학회 제 22권 4호,75-80.
12. 金敏洙(1995).韓國産 木本單葉對生植物의 形態的 識別方法에 關한 硏究,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논문집 제4 권,105-112.
13. 金敏洙(1996).韓國産 木本單葉互生植物의 形態的 識別方法에 關한 硏究,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연논문 제53집, 147-161.
14. 金敏洙외 1인(1997).토양의 입도조성이 토양의 물리성 및 목본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한국조경학회 제 25권 2 호,54-61.
15. 한국조경학회지의 당면과제에 대한 고찰 (2003) 31권 5호 121-129
16. 토양과 수위 및 차광의 차이가 창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2004) 32권 5호 1-6

국내학술발표회

1. 부들의 무기영양흡수에 따르는 전기전도도의 변화 (2003), 한국 환경 복원녹화 기술학회, 23-26
2. 토양의 종류, 수위, 차광의 차이에 따른 창포의 생육상태 (2003), 한국 조경학회,104-107
3. 목본식물 형성층 전기저항의 온도 의존성 (2005), 한국 환경 복원녹화기술 학회, 추계86-93-
4. 일본 조경관련 단체의 성능규정화 (2006), 추계학술논문발표회, 한국조경학회, 52-55
5. 울산 정자동 절토비탈면 강산성 토양의 식물생육 가능성 (2006), 추계학술발표회,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87-93
6. 수목의 생육상태에 따른 관수. 전지시의 형성층전기저항의 변화 (2006) , 추계학술발표회,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34-38

국내연구보고서

1. 임하댐 하류하천(반변천) 생태적 복원 및 관리방안 수립 (2004), 한국수자원 공사, 1-115
2. 호소와 수생식물의 네트워크를 통한 경산시의 관광문화자원 개발 (2005), 경산시 1-20
3. 울산-강동간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절토사면비탈면 녹화 시험 (2005), 부산지방 국토관리청 1-67
4. 경춘선 복선전철 제4공구 건설공사 비탈면 녹화방안 (2006), 철도건설본부장

국내특허

1. 부직포를 이용한 식물재배용 포트 (2004)
2. 수중 부침식 수생식물 재배 장치 (2006)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안계복(명예)

연구실
성도미니관(D5, 자연관307)
전화번호
010-3072-1123
이메일
gbahn@cu.ac.kr
전공분야
· 한국전통조경

추가정보 보기

주요경력

2007.09 ∼ 현 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대학장
2009. 01. ∼ 2010. 12. 경상북도 지방건설기술위원회 위원
2008. 11. ∼ 현 재 경산시 설계자문위원회 위원
2008. 09. 30. 대구광역시 문화상 심사위원회 심사위원
2008. 09. ∼ 현 재 대구광역시 남구 머물고 싶은 아름다운 거리 디자인 사업 자문위원회 위원
2008. 01. ∼ 현 재 경산시 사전재해 영향성검토위원회 위원
2007. 12. ∼ 현 재 대구광역시 건축위원회 위원
2006. 06. 2006년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 지정공모 위원회 평가위원
2006. 02. ∼ 현 재 대구광역시 도시녹화위원회 위원
2006. 05. ∼ 2008. 04. 청송군 문화재보존 영향검토 위원회 위원
2007. 01. ∼ 현 재 영천시 문화재보존 영향여부 위원회 검토위원
2001. 08. ∼ 2003. 02 대구가톨릭대학교 연구정보처장
2001. 03. ∼ 2001. 08. 대구가톨릭대학교 기획연구실장
2000. 03. ∼ 2001. 02. University of Washington Visiting Professor
1998. 03. ∼ 현 재 한국전통조경학회 부회장
1997. 03. ∼ 현 재 경상북도 경산시 도시계획위원
1996. 03. ∼ 1996. 08. 일본 神戶藝術공과대학 연구원
1995. 12. ∼ 현 재 대구광역시 문화재 전문위원
1995. 03. ∼ 현 재 경상북도 문화재 위원
1988. 03. ∼ 현 재 한국조경학회 이사
1983. 01. ∼ 현 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1982. 11. ∼ 1983. 02.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특별연구원


논문발표실적

2008년 12월 NuㆍJungㆍDae(樓ㆍ亭ㆍ臺), The Stronghold of Shanshui(Mountain-Water) Culture 한국전통조경학회지, International Edition 6. pp.22-34.

2008년 09월 경산 사직단 유적 정비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pp.8-16.

2008년 06월 문무왕릉에 게재된 경관계획 재검토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pp.1-8.

2007년 12월 「穿池造山 種花草 養珍禽奇獸」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pp.131-142.

2005년 12월 New Opinion of Landscape Design of Anapji 한국전통조경학회지, International Edition 3. pp.23-30.

2005년 10월 신라 동해구에 대한 지형 경관 분석 한국조경학회지33(4), pp.33-44.

2005년 09월 신라 동해구와 관련된 학설 분석과 새로운 제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23(3), pp13-24.

2005년 03월 풍류의 정원, 누 정 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pp.150-157.

2004년 12월 산수유람정원의 거점, 누 정 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pp.93-102.

2004년 09월 옥소 권섭의 꿈의 세계에 나타난 경관 특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pp.45-55

2004년 06월 Theoretical Analysis of the Humor in Korean Traditional Space 한국조경학회지 32(2), pp.68-77.

2003년 12월 Reading the Humor in Korean Traditional Space -Focused on Case Study Design Analysis- Jr.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1. pp.1-14.

2001년 08월 콜롬비아협곡의 역사적 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한 노력에 대한 고찰 한국공원휴양학회지 3(2), pp.231-243.

2001년 06월 역사공원의 개념과 정비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19(2), pp.1-14.

2000년 12월 안압지 경관조성의 배경원리에 관한 연구(Ⅱ) A Study to Principles of Landscape Design in Anapji(Ⅱ) 한국정원학회지.18(4),pp.57-67

2000년 06월 원로 곡선부의 중심각과 곡률반경에 관한 고찰 -안총정소(1969)의 연구에 대한 재고찰- 한국정원학지.18(2),pp.104-110

2000년 06월 평지 전통마을 갈림길의 중심각과 곡률반경에 관한 연구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us of Curvature and ia Central angle 한국조경학회지. 28(2),pp.10-17

1999년 12월 안압지 경관조성의 배경원리에 관한 연구(1)-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시대적 배경- A Study on Historical Background of Landscape Design in Anapji(1) 한국정원학회지.17(4),pp.57-71

1999년 04월 한국전통마을에 있어서 갈림길의 유형과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ypes and Forms of Branch-road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한국조경학회지. 27(1),pp.101-109

1999년 04월 퇴계 寒栖庵의 위치에 관한 연구(특별강연논문) Considerration to the Location of Hansoeam 1999년 학술논문발표회,pp.8-13

1999년 01월 Comtemporary Use of Traditional Garden Style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cape Architecture of China, Japan, Korea.2(1),pp.97-102.

1998년 10월 한국전통 옥외공간 구성요소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acial Elements in Traditional Korean Outdoor Space and Their Characteristics 전통민가정원에 관한 한중일 국제심포지움.1,pp.149-152.

1998년 07월 한국전통마을의 갈림길의 형태에 관한 연구-곡률반경과 중심각의 관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98학술논문 발표회,pp.16-18

1998년 07월 邑誌圖 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의 Waterfront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aterfront Landscape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ounty-wide Maps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연구논문집.57,pp.197-206

1998년 04월 巖亭으로서 舟巖亭에 대한 小考 A Consideration of Juamjung as a Rock-Pavillion 건축(대한건축학회지).227,pp.40-42

1998년 04월 역사경관의 전통성과 창조적 계승을 위한 재조명 한국의 전통건축,pp.34-38

1998년 02월 邑誌圖 분석을 통한 臺의 원형에 관한 연구 A syudy of Prototypes of Dae through the Analysis of County-wide Maps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연구논문집,pp.207-217

1998년 02월 한국의 전통적 수변공간의 원형에 대하여(특별연구논문) Prototype of Traditional Waterfront Landscape in Korea '98학술논문 발표회, pp.1-4

1997년 11월 Types of Traditional Waterfront Landscape in Korea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Japan.5,pp.55-56.

1997년 07월 역사공원의 개념적 도입과 정비유형에 관한 연구(1)-일본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_ 97학술논문 발표회, pp.20-21

1997년 02월 造景史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의 모색(1)-일본조원학회 60여년의 조원사 연구동향에 대하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연구논문집. 54,pp.59-71

1996년 10월 일본 대덕사의 용원원 정원의 조직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RyuGenIn at DaiTokuJi in Japan 한국조경학회지. 24(3),pp.5-13

1996년 06월 조경사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의 모색(2)-회귀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통한 造園史 연구 동향 분석에 대하여- A New Approaching Methodology in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한국정원학회지.14(1),pp.187-204

1995년 09월 장인정신 되살리는 광범위한 의식의 대전환 요구 환경과 조경. 89,pp.91-96

1995년 08월 삼괴재와 주변 선돌 환경과 조경. 92,pp.154-159

1995년 08월 三槐齋와 周邊 立石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연구논문집.51,pp.373-389

1995년 04월 臺 양식의 역사적 발달과정 및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Development Pattern of DAE(A Kind of Eminence) in Korea 한국조경학회지.23(2), pp.124-136

1993년 07월 臺 양식의 역사적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1)-신증동국여지승람 분석을 통한 臺의 개념 분석-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attern of DAE in Korea (1) 건축역사연구. 2(2), pp.26-35

1991년 07월 韓國의 樓亭樣式上 諸特性 및 計劃理論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한국조경학회지. 19(2), pp.1-11

1991년 04월 韓國の樓亭に現れる景觀處理技法に關する硏究 造園雜誌55(1),pp.19-26.

1990년 02월 누각과 정자양식을 통한 한국전통정원의 특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년 07월 韓國의 樓亭名 選定에 關한 硏究. 한국전통문화연구5, pp.145-223

1988년 02월 慶北地方을 中心으로 한국의 亭樣式 形成에 미친 要因分析에 關한 硏究. 효성여대硏究論文集37,pp.471-510

1987년 02월 퍼스컴을 이용한 평면설계 프로그램과 그 유용성에 관한 연구 효성여대硏究論文集43,pp.353-365

1987년 02월 聖堂屋外空間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III) 효성여대 산업미술2,pp.81-104

1986년 12월 聖堂屋外空間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II) 가톨릭敎育硏究1,pp.272-289

1986년 06월 植物의 溫度緩和效果에 關한 基礎的 硏究 한국조경학회지. 14(1), pp.1-13

1986년 03월 古文獻分析による韓國における別墅の槪念に關する硏究. 造園雜誌49(4),pp.269-280.

1986년 02월 聖堂 屋外空間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I)-聖母像을 中心으로 物理的 要素들의 相關關係分析- 효성여대 산업미술1,pp.95-113

1985년 12월 着席行態分析을 통한 女大生들의 個人의 空間에 관한 硏究 女性問題硏究14,pp.399-413

1985년 12월 大都市 都心部 環境改善을 위한 空間構造的 側面에서의 考察 새마을硏究論文集5,pp.53-74

1985년 12월 都市住居環境의 外部空間改善을 위한 硏究-住居地域 담장에 대한 住民意識 및 現況分析 새마을硏究論文集5,pp.75-96

1985년 04월 修道院 庭園樣式에 관한 考察 효성여대학보641,

1985년 02월 別墅에 關한 硏究(I)-文獻分析을 통한 別墅槪念 및 意味에 關하여 효성여대硏究論文集30,pp.685-706

1984년 02월 UTOPIA에 關한 硏究-都市計劃과 設計를 中心으로- 효성여대硏究論文集28,pp.255-273

1982년 07월 美學理論에 基礎한 景觀評價에 관한 硏究 한국조경학회지. 10(2), pp.53-60

1980년 08월 우리나라 도심부 보행자전용가로의 환경양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역서

2008. 11. 2008년 경상북도 에메니티 자원조사보고서 대구가톨릭대학교

2008. 05. 국가지정문화재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안 대구광역시 달성군

2008. 05. 원림 도서출판 대가

2007. 12.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한림출판사

2007. 11. 2007년 경상북도 에메니티 자원조사보고서 대구가톨릭대학교

2006. 11. 2006년 경상북도 에메니티 자원조사보고서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Landscape Design 도서출판 담디

1999 실용컴퓨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99 육군 고급정보화 정책과정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전산교육원

1997 자유와 고독의 항아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96 동양조경사 문운당

1995 경산향교 실측조사연구보고서 경산향교 이건복원추진위원회

1994 야외박물관기본계획 안동민속박물관

1992 한국전통조경 도서출판 조경

1987 韓國의 亭樣式 形成에 미친 要因分析에 關한 硏究資料集 효성인쇄소

1984 동인공원 조성기본 계획 대구직할시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엄붕훈(명예)

연구실
-
전화번호
-
이메일
bheom@cu.ac.kr
전공분야
ㆍ조경계획/설계 (친환경 계획/설계, 환경재생설계, 환경심리행태)

추가정보 보기

학력
ㆍ학사 - 서울대학교 농학사

ㆍ석사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학석사

ㆍ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Ph. D.

주요경력

ㆍ ㈜현대엔지니어링 과장대리
ㆍ 대구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
ㆍ 대구광역시 도시녹화실무위원
ㆍ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시계획위원 
ㆍ 대구광역시 종합건설본부 자문위원 
ㆍ (사) 대구경실련 환경문화센터 소장
ㆍ 대구광역시 동구 건축심의위원
ㆍ 대구광역시 건축위원회 위원
ㆍ 대구광역시 공원위원회 위원
ㆍ 건설교통부 중앙(턴키)설계심의위원
ㆍ 수자원공사 턴키설계심의위원
ㆍ 도로공사 설계심의위원
ㆍ 대구광역시 수성구 건축심의위원
ㆍ 대구광역시 북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ㆍ 조달청 설계심의위원회 위원
ㆍ 대구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ㆍ 경상북도 경관위원회 위원
ㆍ 경상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ㆍ 경산시 설계자문위원회 위원
ㆍ 국토부 국토환경디자인시범사업 디자인검토위원
ㆍ 환경부 기술평가자문위원회 위원


중점연구분야

ㆍ환경(도시및지역)재생설계연구
(주민참여/이용자심리행태)
ㆍ환경친화형 계획/설계
ㆍ공공디자인, 녹색체험관광


단행본/연구보고서

1. 엄붕훈 외 5인(1984), "동인공원 조성 기본계획" , 1984. 02, 대구직할시, 1-107.
2. 엄붕훈 외 12인(1989), "조경관리학", 1989, 문운당, 1-142.
3. 엄붕훈 외 7인(1996), "과학논문작성법"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120p
4. 엄붕훈 외 29인(1997), "자유와 고독의 항아리",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356p.
5. 엄붕훈(필명:엄원태) (1991), 시집 "침엽수림에서", 민음사, 132p. (제1회 대구시협상 수상)
6. 엄붕훈(필명:엄원태) (1995), 시집 "소읍에 대한 보고", 문학과지성사, 138p.
7. 엄붕훈 우형택, "쾌적환경 평가를 통한 지각환경의 질(PEQI)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1997, 1996년도 교육부 지역개발 연구과제 최종보고서, 1-53.
8. 엄붕훈 외 32인(1999), "알기쉬운 환경과학",시그마프레스, 659p.
9. 엄붕훈 외 4인(1999), "신천 동로 조경 기본계획", 1999. 7, 대구광역시, 93p.
10. 엄붕훈 외 2인.(2001) 육군 3사관학교 시설 및 조경기본계획. 육군3사관학교. 38p.
11. 엄붕훈 외 4인.(2001)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문주변 환경개선사업 기본계획. 대구가톨릭대학교. 23p.
12. 엄붕훈 외 2인.(2002) 조건불리 산촌지역의 환경친화적 자원평가 지표체계 구축 및 GIS 모형 현장 적용. 농림부. 333p.
13. 엄붕훈 외 3인.(2002) 대구광역시 녹지기본계획 최종보고서(자료집별도). 대구광역시. 213p.
14. 엄붕훈 외 12인.(2002) 산학연공동기술개발컨소시움사업최종보고서. 대구가톨릭대학교 산학연콘소시움센터. 320p.
15. 황국웅,엄붕훈 (2002) 대학캠퍼스 환경개선을 위한 조경설계. 대구가톨릭대학교. 32p.
16. 엄붕훈(필명:엄원태) (2007) 시집 “물방울 무덤” 창비. 133p. (제18회 김달진문학상 수상)
17. 엄붕훈 외 45인 (2008) 대구 도시디자인 기초연구. 대구광역시 도시디자인위원회. 75p.
18. 엄붕훈 외 45인 (2008) 대구 그랜드디자인 기본구상 최종보고서. 대구광역시. 283p.
19. 엄붕훈,조극래,현용호,박영아 (2010) 김수환추기경 사랑과 나눔 공원 기본구상 및 타당성 분석 최종보고서. 군위군. 231p.
20. 엄붕훈 외 15인 (2011) 청도군 남성현감꽃권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기본계획. 청도군. 321p.
21. 엄붕훈 외 5인 (2011) 영천시 가상권역 농촌마을종합정비사업 기본계획. 영천시. 295p.
22. 엄붕훈(2013) 대구가톨릭대학교 100주년 기념광장 마스터플랜 수립. 대구가톨릭대학교
23. 엄붕훈(필명:엄원태) (2013) 시집 “먼 우레처럼 다시 올 것이다” 창비. 133p. (제2회 발견문학상, 제15회 백석문학상 수상)
24. 엄붕훈(총괄계획가(조경MP))(2013) 평리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촉진계획 마스터플랜. 대구광역시. 405p.


특허/실용신안

1. 엄붕훈, 신동혁 (2002) (전통문양을 적용한 조립형)주추. 실용신안(0270261호)


논문

[석사학위 논문]
1. 엄붕훈, (1981) "압구정동 아파트 단지 및 수변공원 계획안", 1981.02,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1-148

[박사학위 논문]
1. 엄붕훈, (1989)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1989,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10,

[국내전문학술지]
1. 엄붕훈, 염도의(1984) "잔디공간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 1984. 12, 한국조경학회지 제 12권 2호, 31-41
2. 엄붕훈, 염도의(1985) "공원잔디공간의 녹지구조적 의의에 관한 고찰", 1985. 12, 한국조경학회지 제13권 2호, 27-36
3. 엄붕훈, 최준수(1986) "도시공원 이용자수 변동패턴과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1986. 12, 한국조경학회지 제 14권 2호 81-90
4. 엄붕훈, (1990) "근대농촌 마을의 옥외공간 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1990.7, 한국조경학회지 제 18권 2호, 31-44(아산재단 연구비지원)
5. 엄붕훈, (1992)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연구 (1)", 1992.4, 한국조경학회지 제20권 1호 53-68 (학술진흥재단지원)
6. 엄붕훈, (1992)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연구 (2)", 1992.7, 한국조경학회지 제20권 2호 1-17 (학술진흥재단지원)
7. 엄붕훈, (1992)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연구 (3)", 1992.11, 한국조경학회지 제20권 3호 93-102 (학술진흥재단지원)
8. 엄붕훈, 한성미(1993) "공원잔디공간 이용자의 혼잡도 지각에 관한 연구", 1993. 11, 한국조경학회지 제21권 3호. 65-75
9. 엄붕훈, (1995) "외부공간 설계에 있어 「프라이버시」개념의 응용 및 측정「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1995. 4, 한국조경학회지 제 23권 1호. 95-109 (학술진흥재단 지원)
10. 엄붕훈, (1996) "공원잔디공간의 이용활동유형별 공간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1996, 한국잔디학회지 제 10권 1호. 13-20 (교비지원)
11. 엄붕훈, 한성미(1994) "「캠퍼스」공간설계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지각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 안전 지각과 시각선호에 대한 비교분석- , 1997. 7, 한국조경학회지 제 25권 2호 104-116
12. 엄붕훈, 우형택(1997), "쾌적환경평가를 통한 지각환경의 질(PEQI)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1997.12. 한국환경과학회지 제6권 6호, 563-578. (교육부 지역개발과제 지원) (학술진흥재단 '97 우수과제 선정)
13. 엄붕훈, 우형택(1999),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 27권 1호, 64-78 (학술진흥재단 자유공모과제 연구비지원)
14. 엄붕훈, (1999), "LISREL 경로분석에 의한 농촌 관광농원의 환경친화성 평가 모형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5권 2호 56-65 (대산농촌문화재단 공모과제 연구비지원)
15. 엄붕훈, (1999), "농촌 관광농원의 환경친화성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 27권 3호 69-79 (대산농촌문화재단 지원)
16. 우형택, 엄붕훈, 문연화(1999),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과 검증", 한국환경과학회지 제 8권 5호 559-568
17. 예경록 , 엄붕훈(2000), "우리나라 전통경관보전의 제도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 35권 2호 127-139 (학술진흥재단 박사후 연구과정 지원)
18. 엄붕훈, (2003), "환경 친화적 지역개발을 위한 봉화군의 자원평가",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 6권 2호
19. 엄붕훈, (2004), "조건불리 산촌지역 생태관광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0권 3호
20. 엄붕훈, (2005), "주거지 환경친화성 평가 지표체계 개발", 한국환경과학학회지 제 14권 제 1호 985-994
21. 엄붕훈, (2005), "대구시 공원녹지의 이용행태 및 의식조사 분석", 자연과학연구논문집 제 3권 제 1호 69-78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2. 엄붕훈, (2006), “그린투어리즘을 위한 농산어촌 체험마을 현황분석”, 농촌계획(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권 4호

[국내전문학술회의 발표Proceeding]
1. 엄붕훈, 문석기(1987) "Privacy 개념 도입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2)", 1987, 한국조경학회 발표논문요지집(Full Text), 53-55
2. 엄붕훈, 외 5인(1987), "외부공간에 있어 Privacy수준의 측정에 관한 사례연구", 1988, 한국조경학회발표논문요지집(Full Text), 56-57
3. 엄붕훈, (1996) "환경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대구 도시환경의 진단", 1996. 6, 영남대학교 환경문제심포지움 논문집(Full Text) 제 18집 47-54
4. 엄붕훈, (1996) "새로운 환경계획/관리 개념으로서의 지속가능한 개발", 1996. 12, 대구대학교 도시 환경심포지움 논문집(Full Text) 제 2집 127-144
5. 엄붕훈, (1997) "쾌적환경 평가를 통한 지각환경의 질 평가모델", 1997.12, 한국학술진흥재단 '97지역개발연구 우수과제 학술세미나 논문집,(Full Text) 107-114
6. 엄붕훈, 배동선(2000), "주거지역 유형별 환경친화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 학술논문발표회 요지집(Full Text) 44-48

[국내대학 학술지]
1. 엄붕훈, (1982) "도시가로 장치물에 관한 연구", 1982. 08,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제25집,
513-533
2. 엄붕훈, (1983) "경관을 보는 두 개의 시각", 1983.02, 효성여자대학교 조경연구 제 1권 1호, 17-30
3. 엄붕훈, (1984) "피라칸싸, 덜꿩나무, 윤노리나무의 생장 및 결실패턴에 관한 연구", 1984.03,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제 28집, 93-105
4. 엄붕훈, 심상렬(1985) "잔디공간의 토양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1984. 12,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논문집 제 2권 2호, 31-41
5. 엄붕훈, 심상렬(1985) "도시주거환경의 외부공간 개선을 위한 연구(1)", 1985. 02, 효성여자대학교 새마을 연구논문집 제 4집, 72-101
6. 엄붕훈, 안계복(1985) "도시주거환경의 외부공간 개선을 위한 연구(2)", 1985. 12, 효성여자대학교 새마을연구논문집 제 5집, 75-94
7. 엄붕훈, (1985) "외부공간설계에 있어 환경심리적 접근방법의 응용에 관한 고찰", 1986. 02, 효성여자대학교 산업미술연구 제 1집, 75-94
8. 엄붕훈, 안계복(1986) "성당옥외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1)", 1986. 02, 효성여자대학교 산업미술연구 제 1집, 95-113
9. 엄붕훈, (1986) "대구시 공원 녹지의 만족도 평가 및 녹지의식에 관한 연구", 1986. 12, 효성여자대학교 새마을연구논문집 제 6집, 61-85
10. 엄붕훈, (1987) "공원녹지의 물리적 공간구성에 따른 이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1987.08,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제 35집, 465-485(학술진흥 재단지원)
11. 엄붕훈, (1988) "대구시민의 녹지의식 및 공원녹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1988. 12, 효성여자대학교새마을연구논문집 제 8집, 71-86
12. 엄붕훈, (1990) "대구시 공원녹지의 이용률 및 수요분석에 관한연구", 1990, 효성여자대학교 새마을 연구논문집 제 10집, 119-138
13. 엄붕훈, 정승희(1992) "신천고수부지 체육공원의 이용후 평가(POE)에 관한 연구", 1992, 효성여자대학교 지역사회개발원논문집 창간호, 31-46 (교비지원)
14. 엄붕훈, (1993) "대구시 근린공원의 이용형태 및 만족도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1993, 효성여자대학교 지역사회개발원논문집 제2집, 133-149
15. 엄붕훈, 한성미,최정은(1997), "대구·경북 지역의 환경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1997.12, 대구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논문집 제6권 1호, 71-85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