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Professor

_

박진욱

연구실
성예로니모관(C7) 327호
전화번호
053-850-3183
이메일
zoopjw@cu.ac.kr
전공분야
한국어교육

추가정보 보기

국제한국어전공주임

<주요경력>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학위 취득, 2014.
덕성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부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역임.


<연구 사업>
세종학당 기본 교육과정 문제은행 시범 운영 사업. 연구책임
온라인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문항 개발 연구. 공동연구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교재 현지화 및 질 관리 방안 연구. 공동연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해외 시행 기초 연구. 연구책임
2020 세종학당 학습자 성취도 평가 개발 연구. 연구책임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인증제 운영 방안 연구. 공동연구
초등학교 KSL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실 기반 한국어 진단 평가 개발 연구. 공동연구
2019년 세종한국어 회화 성취도 평가 개발. 연구책임
세종학당 기본 교재 개정 연구. 공동연구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항 개선 정책 연구. 공동연구
2018년 세종한국어 회화 성취도 평가 개발. 연구책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적응도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연구책임
온오프라인 융합 한국어교육 사업 기본 계획 수립. 공동연구
2017년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개발 연구. 공동연구
국제통용한국어표준교육과정적용연구. 공동연구


<논문>
2021. 국내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업적응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연구. 한성어문학회.
2021. 한국어 교재 속 회화적 요소의 특성 연구. 우리말학회.
2020. 한국, 프랑스, 독일의 자국어 보급 기관의 교재 비교 -초급, 중급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020. KSL 대상 한국어능력 진단 평가 및 보정 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및 과제. 어문학.
2020. KSL 배경 학령기 학습자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교육.
2018. 해외 한국어교육 확산을 위한 교육 현황 분석 연구 -해외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8.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응시 현황 및 결과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2018.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의 제시문 구성 방향 연구 - 곤란도에 영향을 주는 단서를 중심으로 -. Journal of korean Culture.
2018. 국제교육과정(IBDP) 내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과정 특성 연구. 어문학
2018. 특수 목적 교육으로서의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개선 방향 연구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018.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변이형 적용 연구-해외 중등학교의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018.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문단 단위의 자료 기반 쓰기 활동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2017.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수학 문장제 수행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우리어문학회
2017. 국내 유학생을 위한 생활 적응 진단 도구 개발 연구. 민족연구.
2015 전공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민족연구.
2014. 대단위 한국어 수업을 위한 역진행 수업 (flipped classroom) 모형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
2014. 읽기 후 ‘세부내용 파악하기’ 활동에 대한 반응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2014. 한국어 쓰기에서 내용 전개 및 조직 능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3. 학부모 역할을 고려한 수행 중심 한국어 교육 방안.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
2011.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의 구성요소 연구. 한국어학.

<저서>
한국어교재론, 공저, 한국문화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공저, 소통
한국어 교육 실습, 공저, 하우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서수백

연구실
성예로니모관(C7) 322호
전화번호
053-850-3182
이메일
sbseo93@cu.ac.kr
전공분야
국어학

추가정보 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문학박사 학위 취득(2009)
BK21 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 사업,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전편찬사업 참여 연구원 역임
경운대학교 기초교육학부 전임교원(2010~2014)
현)대구가톨릭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프란치스코칼리지 전임교원(2014~)
연구분야: 국어의미론, 국어문법론, 한국어교육, 글쓰기
강의 분야: 국어학, 한국어교육학, 인문학 토론 논리 교과


<논문>
『字類註釋』의 사전적 체재 연구, 박사학위논문, 2009.
「대학생 작문 분석 기반 글쓰기 교육 연구- 대학생 서평 작문 분석을 대상으로 -」, 『인문연구』, 81호.
「대학 고전 읽기 수업 운영 사례 연구」, 『인문연구』, 91호.
「한국어능력시험(TOPIK)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 17권.
「시트콤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 연구-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을 대상으로-」, 『인문논총』 41권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 오류 분석-학부 재학 유학생 백일장 작문을 대상으로-」, 『우리말글』, 62권.
「『아학편』의 사전 미등재 새김 어휘 분석 -<강경훈본>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62호.
「『자류주석(字類註釋)』의 자석(字釋) 연구 -사전 미등재어를 대상으로-」, 『한민족어문학』, 66권.
『훈몽자회(訓蒙字會)』와 『신증류합(新增類合)』의 자석(字釋) 비교 연구,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7권,
「『경신록언석』의 독자 중심적 언해 특징 분석」, 『한민족어문학』, 64권.
『字類註釋』의 同字異釋형 중출 표제한자의 새김과 분류, 『인문연구』, 101호.
『신자전』(新字典)의 복수 자석 연구, 『인문연구』, 104호. 외 다수.


<저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 1: 왕실 전례 편』 (공저) 집필위원
『인문학적사고와표현』 (공저)
『고전의이해』 (공저)
『글쓰기와말하기』 (공저)


<기타>
한국교양교육학회 연구윤리위원
한국어교육협의회 회원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편집이사 역임
한국어문학회 국제이사 역임
한국어교원 2급 자격 취득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