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Professor

_

최원오 교수 [학과장]

연구실
인문관 C7-339
전화번호
053) 850-3998
이메일
optatus3@cu.ac.kr
전공분야
교부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1992.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 석사
1999. 로마 교황청립 아우구스티누스대학 교부학 박사

<경력>
(전) 부산가톨릭대학교 교부학 교수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스티노자유대학원장(인문학과장)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인성교육원 교수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종교영성학과장

<저서>
『내가 사랑한 교부들』, 분도출판사 2005(공저).
『종교 간의 대화』, 현암사 2009(공저).
『교부 문헌 용례집』, 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14(공저).
『교부들에게 배우는 삶의 지혜』, 분도출판사 2017(공저).
『교부들의 사회교리』, 분도출판사 2020.
『함께 걷는 시노달리타스 교회 이야기』,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4(공저).

<역주서>
포시디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교부 문헌 총서 18, 분도출판사 2008(공역주).
아우구스티누스, 『요한 서간 강해』, 교부 문헌 총서 19, 분도출판사 2011(공역주).
암브로시우스, 『나봇 이야기』, 교부 문헌 총서 20, 분도출판사 2012.
오리게네스, 『원리론』, 한국연구재단 총서 567, 아카넷 2014(공역주).
암브로시우스, 『토빗 이야기』, 교부 문헌 총서 24, 분도출판사 2016.
키프리아누스, 『선행과 자선』, 그리스도교 신앙 원천 3, 분도출판사 2018.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참회에 관한 설교』, 그리스도교 신앙 원천 7, 분도출판사 2019(해제).
암브로시우스, 『성직자의 의무』, 아카넷 2020.
히에로니무스, 『명인록』, 아카넷 2022.

<번역서>
아달베르 함만, 『교부들의 길 - 감동의 교부 단편과 함께 읽는 교부학 입문서』, 성바오로출판사 2002(공역); 『교부와 만나다』, 비아출판사 2019(공역, 개정 신판).
토머스 C. 오든 - 크리스토퍼 A. 홀 엮음, 『교부들의 성경 주해. 신약 III: 마르코 복음서』, 분도출판사 2011.
줄리아노 비지니, 『성 아우구스티누스』, 분도출판사 2015(공역).
지그마르 되프 – 빌헬름 게어링스, 『교부학 사전』, 한국성토마스연구소 2021(공역).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김도현 교수

연구실
-
전화번호
-
이메일
dohyunkim@cu.ac.kr
전공분야
물리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1996. 02. KAIST 물리학 학사(B.S. in Physics)
1998. 02. KAIST 물리학 석사(M.S. in Physics)
2003. 02. KAIST 물리학 박사(Ph.D in Physics)
2014. 02.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 석사(M.A. in Theology)
2015. 04. Loyola School of Theology, Ateneo de Manila University(Philippines) 교회신학사(S.T.B.)

<경력>
(전) 서울대학교 이론물리학연구센터 연구원
(전)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전) 서강대학교 물리학과/전인교육원 교수
(전)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신학대학) 초빙교수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인성교육원 교수

<저서>
김도현, 『과학 시대에도 신앙은 필요한가: 과학만능주의 시대, 신앙의 의미 탐구』, 생활성서사, 2023.
김도현, 『과학과 신앙 사이: 물리학자 김도현 신부가 들려주는 과학 시대의 신앙』, 생활성서사, 2022.
김도현, 『신학, 과학을 만나다: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 본 그리스도교 신학의 새로운 해석』, 서강대학교출판부, 2020.

<역서>
리지 헨더슨·스테프 브라이언트 엮음, 김도현 번역, 『하느님과 과학에 대한 101가지 질문』, 바오로딸, 2024.
로버트 존 러셀·윌리엄 스테거·조지 코인 엮음, 전양환·김도현 외 10인 공역, 『물리학, 철학, 그리고 신학 이해를 위한 공동 탐구』,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3.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김율 교수

연구실
종합강의동 A9-202
전화번호
053) 850-2571
이메일
alpinum@cu.ac.kr
전공분야
중세철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서울대 인문대학 미학과 학사 및 석사.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 수학.
레겐스부르크대학교 철학박사 (중세철학 전공).

<경력>
(전) <중세철학> 편집위원장
(전) 한국중세철학회 회장
(전) <가톨릭철학> 편집위원장
(전) 프란치스코칼리지 학장
(현) 한국가톨릭철학회 회장 직무대행
(현) 프란치스코칼리지 교수

<논문>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윌리엄 오캄의 비판」, 󰡔철학󰡕 104 (2010).
「철학의 진리와 신앙의 진리」, 󰡔중세철학󰡕 17 (2011).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신학 - 둔스 스코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철학󰡕 112 (2012).
「필레보스 편에 나타난 거짓 즐거움과 참된 즐거움」, 󰡔철학사상󰡕 59 (2016).
「토마스 아퀴나스의 경제 정의 사상」, 󰡔인문논총󰡕(서울대 인문학연구소) 77 (2020).
“Why Does the Wood Not Ignite Itself? - Duns Scotus’s Defense of the Will’s Self-Motion”, American Catholic Philosophical Quarterly 95 (2021) 등 국내외 학술지 논문 50편 여편 발표.

<저서>
Selbstbewegung des Willens bei Thomas von Aquin (박사논문, Veröffentlichungen des Grabmann Institutes zur Erforschung der mittelalterlichen Theologie und Philosophie Bd.51, Berlin: Akademie Verlag, 2007).
󰡔서양고대미학사강의 – 철학사로서의 미학사 이해를 위하여󰡕 한길사, 2010.
󰡔중세의 아름다움󰡕, 한길사, 2017.
󰡔행복과 자유 – 서양 중세 윤리학 연구󰡕, 도서출판 길, 2025.
<역서>
󰡔은총과 자유󰡕 (Bernard Lonergan, Grace and Freedom), 가톨릭출판사, 2005.
󰡔신앙의 근거들󰡕 (Thomas Aquinas, De rationibus fidei), 철학과현실사, 2005.
󰡔사랑과 책임󰡕 (Pope John Paul II, Love and Responsibility), 누멘, 2010.
󰡔그리스도교 윤리학 – 윤리신학과 철학적 윤리학의 성찰적 대화󰡕 (Ralph MacInerny, Christian Ethics), 누멘, 2017.
󰡔대이교도대전 III-1󰡕 (Thomas Aquinas, Summa contra gentiles III-1), 분도, 2019 총 10종.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박상욱 교수

연구실
루가관 A1-417호
전화번호
053) 650-4452
이메일
free070@cu.ac.kr
전공분야
윤리신학, 혼인과가정

추가정보 보기

<학력>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사, 2010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석사, 2013년
로마 라테라노대학교 교황청립 요한 바오로 2세 혼인과 가정 신학대학 석사, 2019년
로마 라테라노대학교 교황청립 요한 바오로 2세 혼인과 가정 신학대학 박사, 2024년

<경력>
교황청 성직자부, 사제 지속 양성 과정, 2021-2022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인성교육원 조교수, 2024-2025년
대구가톨릭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성마태오관 교목실장, 2024-2025년
대구가톨릭대학고 종교영성대학원 겸임교수, 2025년-현재
대구가톨릭대학고 문화영성대학원 겸임교수, 2025년-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윤리학 교수, 2025년-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목실장 (겸. 행정차장). 2025년-현재

<저작>
1. Sang-Wook PARK, La missione ecclesiale della famiglia. Una proposta ecclesiale per la pastorale familiare della Chiesa Cattolica Coreana, Pontificia Università Lateranense, Roma 2024.
2. Don Sangwook Park, “Le figlie e i figli di Don Alberione vivono e comunicano l’eredità carismatica del loro Padre Fondatore”, in Fate a tutti la carità della verità, Atti del Convegno della Famiglia Paolina, 22-23 ottobre 2021, 56-59.
3. 박상욱, “가정 사목과 생명”, 한국천주교회 총람: 2018-2022년, 서울: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23, 127-131.
4. 박상욱, “2025학년도 대구·경북 의과대학 신임교수 연수회를 마치고: 교육자의 정체성과 덕(품성)을 위한 제안, 대구∙경북의학교육소식지, 2025.
5. 박상욱, ”다시 만나는 은총의 자리, 축성생활“, 영성생활(70호), 2025년 가을호.
6. 박상욱,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시신기증에 대하여“, 대구교구사회복지국 밀알소식지(372호), 2025년.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송창현 교수

연구실
사제관 C5-505
전화번호
053) 850-3657
이메일
mchsong@cu.ac.kr
전공분야
성서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대구가톨릭대학교
프랑스 파리가톨릭대학교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성서 대학원. 성서학 석사학위(S.S.L.)
이스라엘 예루살렘 성서·고고학 연구소. 성서학 박사 학위(S.S.D.)

<경력>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2000-2018년)
(전) 사해 사본과 그리스도교의 기원 전시회 자문교수(2007년)
(전) 캐논앤컬처 편집위원(2007-2017년)
(전) 신학과 사상학회 편집위원(2009-2014년)
(전) 가톨릭사상연구소 소장(2013-2017년)
(전) 한국가톨릭신학회 편집위원장(2014-2017년)
(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2020-2025년)

(현) 가톨릭사상연구소 연구교수
(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2025-2030년)




<저서>
1. 『공동체 규칙서 : 회중 규칙서, 축복 규칙서』, 한님성서연구소, 2022.
2. 『성경의 정의, 평화와 생태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4,
3. 『마르코 복음서 이야기로 읽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2.
4. 『함께 걷는 시노달리타스 교회 이야기』,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4.(공저)
5. 『그리스도교 인간이해』,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1.(공저)
6. 『사해사본과 그리스도교의 기원』, 쿰란출판사, 2008.(공저)


<논문>
1. 부와 가난에 대한 예수의 입장과 복음서의 해석. 카리타스복지논총 19/2(2024), 1-24.
2. 예수의 종말론과 헬레니즘의 역사관, 가톨릭신학과 사상 89(2023), 47-90.
3. Historical Jesus and Qumran Literature,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in Asia, Vol. 82, January 2019, 75-106.
4. 예루살렘의 역사와 고고학, 가톨릭 사상 55(2017), 309-342.
5. 현대 성경 연구와 ‘덴칭거’, 이성과 신앙 62(2017), 257-279.
6. 예수 운동과 마을 공동체, 가톨릭 사상 54(2017), 85-116.
7. 쿰란의 청동 두루마리(3Q15)에 관한 연구, 가톨릭 신학 30(2017), 381-408.
8. 쿰란의 『축복 규칙서』(1QSb)에 관한 연구, 가톨릭 사상 53(2016), 131-155.
9. 쿰란사본과 신약성경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 가톨릭 사상 52(2016), 83-114.
10. 쿰란 고고학의 역사와 쟁점들, 가톨릭 신학 27(2015), 289-326.
11. 쿰란 『회중 규칙서』의 종교 사상과 역사적 중요성, 가톨릭 신학 26(2015), 167-206.
12. 사해 사본 연구를 위한 학문적 도구들, 가톨릭 사상 49(2014), 131-163.
13. 쿰란 사본의 종말론에 관한 연구, 가톨릭신학과 사상, 74(2014), 190-228.
14. 사해 두루마리에 나타난 알레고리 해석: 1QHa XVI 5-12, 캐논 앤 컬쳐 16(2014), 71-103.
15. 고대 유다이즘과 신약 성경에서의 혼인과 가정, 가톨릭 사상 47(2013), 33-64.
16. 역사적 예수 연구와 고고학, 가톨릭 사상 46(2013), 115-140.
17. 4QMMT와 바오로 연구의 새 관점, 가톨릭신학과 사상, 67(2011), 203-234.
18. 루카 15,11-32의 아버지와 두 아들 비유, 가톨릭 사상 43(2011), 1-24.
19. 루카 1,1-4에 나타난 역사, 문학, 신학, 가톨릭 사상 42(2010), 1-30.
20. 쿰란 사본과 신약성경의 인간 이해, 이성과 신앙 43(2010), 5-39.
21. 4Q521의 메시아와 부활, 가톨릭 사상 41(2010), 29-54.
22. 사해 사본과 지혜 문학 전승, 가톨릭사상 40(2009), 53-78.
23. 쿰란의 유대이즘과 헬레니즘, 캐논 앤 컬쳐 5(2009), 97-127.
24. 1QS III 13-IV 26의 이원론, 가톨릭 사상 39(2009), 129-154.
25. 예수와 요세푸스, 가톨릭 신학 13(2008), 53-78.
26. 정의의 스승과 메시아, 가톨릭 사상 38(2008), 259-282.
27. 성전과 공동체, 가톨릭 사상 37(2008), 202-226.
28. 쿰란 사본과 다윗 전승, 캐논 앤 컬쳐 3(2008), 121-148.
29. 쿰란 메시아 사상의 기원과 특성, 가톨릭 사상 36(2007), 293-324.
30. 에녹 1서 해제, 가톨릭 신학 10(2007), 55-83.
31. 쿰란 사본과 정경의 문제, 캐논 앤 컬쳐 1(2007), 72-104.
32. 쿰란의 이사야서 사본과 성서 번역, 성경원문연구 20(2007), 30-51.
33. 야고보의 유골함에 관한 연구, 가톨릭신학 9(2006), 1-28.
34. 쿰란 사본에 나타난 “정의의 스승”의 자기 이해, 가톨릭사상 35(2006), 97-126.
35. 쿰란 사본과 성서 연구: 4Q285, 4Q448, 4Q246, 7Q5, 11Q13을 중심으로, 성경원문연구 16(2005), 7-38.
36. “악한 사제” 요나단 마카베오와 쿰란 공동체, 신약논단 11/4(2004), 895-922.
37. 1QHa XXIII 11b-16 연구, 가톨릭사상 31(2004), 5-40.
38. 세례자 요한과 쿰란 공동체, 가톨릭신학 3(2003), 135-172.
39. 11Q13 ii 18의 “성령의 기름 부음 받은 이”에 관한 연구, 가톨릭사상 29(2003), 65-93.
40. 예수의 행복선언에 나타난 “영으로 가난한 사람들”, 가톨릭사상 27(2002), 263-295.
41. 마르 10,46-52의 “다윗의 아들” 연구, 가톨릭사상 26(2002), 133-173.
42. Recension de Johannes Zimmermann, Revue de Qumran, 78(2001), 32-322.
43. 4Q246의 “하느님의 아들” 연구, 가톨릭사상 25(2001), 221-256.
44. 다마스커스 문헌(CD) VI 2-11a 연구 - 마지막 날에 “정의를 가르칠 자” -, 가톨릭사상 24(2001), 417-445.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최동석 교수

연구실
유스티노캠퍼스 213
전화번호
053) 660-5122
이메일
andrew1130@cu.ac.kr
전공분야
중국철학(불교철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2000-2003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신학석사(Meister Eckhart의 라틴어 저서 「삼부작」에 대한 연구)
2007-2010 중국 북경대학교 중국철학 석사(『성유식론』의 아뢰야식 연구–삼상을 위주로)
2010-2014 중국 북경대학교 중국철학 박사(『능가경』의 수행이론연구)

<주요경력>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2014-2016)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목처(부처장, 2016-2017)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담임신부, 신학 사무처장, 영성지도, 2017-2024)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특수대학원 신학대학원장, 일반대학원 문화영성학과장, 평생교육원 가톨릭신학원장(2025-현재)

<논문>
2014 수행이론(修行理論)에 관한 연구: 4권본 『능가경(楞伽經)』, 가톨릭사상
2015 『능가경(楞伽經)』 여래장(如來藏) 사상 연구, 가톨릭사상
2016 "서유기(西遊記)"에 나타나는 죄종(罪宗)의 모습들, 가톨릭사상
2017 무하유의 마을(無何有之鄕)에 이르는 길 - 『장자』「내편」연, 가톨릭사상
2017 감산덕청의 『장자내편주 · 대종사』 연구, 가톨릭사상
2018 "육이미후"에 대한 유식사상적 고찰-'서유기' 56-58회를 중심으로, 가톨릭사상
2018 『천주실의(天主實義)』에 나타난 불교사상에 대한 재고찰, 가톨릭사상
2019 장자의 생명사상 연구, 가톨릭사상
2019 『묵상지장(默想指掌)』과 『차제선문(次第禪門)』비교연구, 가톨릭사상
2020 묵자(墨子)의 하늘의 뜻(天志)과 보편적인 사랑(兼愛)의 상관, 가톨릭사상
2020 빤또하(D.Pantoja)의 중국선교에 관한 고찰, 가톨릭사상
2021 『장자』·「응제왕」편에 대한 고찰, 가톨릭사상
2021 『대승기신론』「수행신심분」지관문 수행에 대한 소개, 가톨릭사상
2022 “절대자유”에 대한 고찰 - <장자·소요유>를 중심으로, 가톨릭사상
2022 <천은자天隱子>에 대한 소개, 가톨릭사상
2023 도사 성현영成玄英에 대한 소개, 가톨릭사상
2023 「요한복음」 8장과 「장자·소요유」 비교고찰, 가톨릭사상
2024 『서유기』에 나타나는 삼교(三敎)연구, 가톨릭사상
2024 중국선사禪師들의 제자교육, 가톨릭사상
2025 삼교사상의 죽음에 대한 연구, 가톨릭사상

<공저>
2021 가톨릭 신학을 소개합니다, 성서와 함께

<잡지 투고>
2025 수행의 길, 사찰을 찾다! 12회 연재(1월-12월), (출)월간빛잡지

<방송 출연>
2022 가톨릭신부가 말하는 장자이야기(9-12회), CPBC 가톨릭평화방송 둘레특강
2025 《서유기, 하느님을 찾아가는 또 하나의 길》 – 동양 고전에서 만나는 구도자의 여정과 신앙적 통찰(176-180회), CPBC 가톨릭평화방송 둘레특강

<유튜브 출연>
2018 신앙의 눈으로 다시 읽는 서유기(1-4강), CPBC 가톨릭평화방송
2019 신앙인을 위한 동양고전 읽기(장자 내편), CPBC 가톨릭평화방송
2020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 읽기(1-4강), CPBC 가톨릭평화방송
2020 선과 성서(1-4강), CPBC 가톨릭평화방송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최의정 교수

연구실
공연·음악·예술대학 D17-228
전화번호
053) 850-2617
이메일
choedosa@naver.com
전공분야
종교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1993.03.~1997.02.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신학 학사.
2000.03.~2002.06.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신학 석사.
2011.03.~2017.02.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문학 박사.

<약력>
2002.06.~2004.08. 대봉성당 보좌
2004.09.~2006.08. 산격성당 보좌
2006.09.~2009.01.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율전공학부·인성교양부
2009.02.~2010.10. 천부성당 주임
2010.10.~2014.01. 군위성당 주임
2012.04.~2012.12. (겸) 군위군 다문화 가족지원 센터장
2014.02.~2018.01.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2018.01.~2021.02. 대구대교구 제1대리구 사무국장
2021.03.~(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인성교육원

(현) 성 로베르토 웰-엔딩 연구소장



<논문>
예수의 죽음에 나타난 救援的 意味에 關한 小考,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996.
家庭聖化의 原泉으로서 婚姻聖事에 關한 考察,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현대 한국의 가톨릭신자를 위한 중세의 Ars Moriendi와 성 로베르토 벨라르미노의 Ars Moriendi의 비교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현대 한국의 가톨릭신자를 위한 중세와 성 로베르토의 아르스 모리엔디, 현대 가톨릭사상 54, 2017, 53-84.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류영주 교수

연구실
인문관 C7-246-2
전화번호
053) 850-3997
이메일
ryj55@cu.ac.kr
전공분야
종교학, 뇌교육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효성여자대학교 종교학과 학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문학 석사.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문학 박사.
국제뇌교육대학원 뇌교육학 박사.

〈약력〉
1998년-2000년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교육 연구소 연구원
1999년 오스트리아 Wien 어학 연수
2001년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 연구소 연구원
1998년-2001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종교학과(학부) 외래교수
2002년-2003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종교사회복지학과, 인성교양부 외래교수
2004년-2007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인성교양부 강의전담교수
2010년- 산자연학교 뇌교육, 서번트교육, 생태윤리, 생태영성프로젝트 담당강사
2007년-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 인성교육원 교수(‘뇌과학을 통해 본 인간의 마음’, 신경신학,
신경철학이란 테마로 세미나를 하며, ‘성공을 위한 뇌과학’ 학부 교양강좌를 맡고 있음).
주로 종교학과 뇌과학 융합과목을 담당.
2010년 7월 (‘성공하는 대학생들의 두뇌 사용법’ ‘재능 계발프로젝트’, ‘현명한 부모/총명한 아이-우리 아이 큰인물 만드는 뇌교육’
프로젝트 실시함. 대구 경북 지역 학부모, 학생들 대상)
2011년-2013년 경일대학교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의 뇌 활용법’) 강좌로 강의.
2014년 대구경북 이러닝 콘텐츠 개발 공모 당선(강좌명: ‘재미있는 뇌 이야기’)
2015년 KOCW 강의공개 콘텐츠 개발 공모 당선(강좌명: ‘성공을 위한 뇌과학’)

〈저서〉
뇌와 마음,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5.
현대인의 뇌ㆍ정신 건강,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6.
기쁨의 건강학-현대인의 정신건강 가이드(상),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6.
기쁨의 건강학-현대인의 정신건강 가이드(중), 대구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7.
뇌과학에서 본 자기계발법(상),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1.
뇌과학에서 본 자기계발법(하),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1.
영화속 뇌과학 이야기(1권),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2.
성공두뇌만들기,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3.
뇌과학을 통해 본 마음-마음의 본질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4.
성공적인대학생활(1권)-인성교육(편), 인간과 영성 연구소, 2015.
망각의 해석학(공동연구),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5.
사람의 참모습(1권), 인간과 영성 연구소, 2015.
사람의 참모습(2권), 대구가톨릭대학출판부, 2015.
재미있는 뇌 이야기(1권), 인간과 영성 연구소, 2015.

〈연재〉
자기 사랑과 자기 용서, 야곱의 우물, 2000.
단편수필들(연재), 불기둥, 1990-1994.
저는 뇌입니다, 가톨릭출판사 <소년>, 2010. 3.
뇌를 연구한 과학자(1), 가톨릭출판사 <소년>, 2010. 4.
뇌를 연구한 과학자(2), 가톨릭출판사 <소년>, 2010. 5.
뇌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1), 가톨릭출판사 <소년>, 2010. 6.
뇌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2), 가톨릭출판사 <소년>, 2010. 7.
뇌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3), 가톨릭출판사 <소년>, 2010. 8.
뇌 이야기, <어린이강원일보>에 2011- 2012.

〈논문〉
환경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자세, 대구가톨릭대학 종교학과 대학원, 1996.
환경문제 극복방안으로서의 Askese, 대구가톨릭대학 종교학과 대학원, 2001.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으로서의 내적 자세의 길(2인 공동연구), 가톨릭교육 연구소 가톨릭교육 연구논문집, 1998.
환경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자세, 대구가톨릭대학 종교학과 대학원, 1996.
환경문제 극복방안으로서의 Askese, 대구가톨릭대학 종교학과 대학원, 2001.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으로서의 내적 자세의 길(2인 공동연구), 가톨릭교육 연구소 가톨릭교육 연구논문집, 1998.
환경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자세, 대구가톨릭대학 종교학과 대학원, 1996.
환경문제 극복방안으로서의 Askese, 대구가톨릭대학 종교학과 대학원, 2001.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으로서의 내적 자세의 길(2인 공동연구), 가톨릭교육 연구소 가톨릭교육 연구논문집, 1998.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전헌호 명예교수

연구실
-
전화번호
-
이메일
hhchun@cu.ac.kr
전공분야
영성신학, 환경신학, 인간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사항>
74/03 - 78/02; 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신학사,
81/03 - 82/02;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연구과,
82/10 - 87/02;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신학부, 신학석사,
87/03 - 90/06;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신학부, 신학박사,

<경력사항>
교외경력
04/10/14 - 08/01/31; 대구외국어대학교 관선이사 선임
06/02/28 - 08/02/14; 성바울로성당 주임신부
06/06/01 - 12/02/28; 경북대학교 생명의학연구소 심사위원(IRB)
10/11/01 - 13/06/30; 가톨릭신학회 회장
06/01/01 – 15/06/30; 환경과학회 평의원
12/06/01 – 15/06/30;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교내경력
91/09/01 - 93/02/28; 효성여자대학교 강사,
93/03/01 - 95/03/31; 종교학과 전임강사,
95/04/01 - 99/03/31; 종교학과 조교수,
99/04/01 - 05/04/11; 부교수
97/03/01 - 99/02/28; 종교학과장
98/03/02 - 99/11/30; 가톨릭교육연구소(교책연구소) 소장
03/03/02 - 종교사회복지학전공 주임
03/03/15 - 가톨릭사상연구소 소장
03/03/01 - 산학연협동위원회 위원 (임기: 2003. 3. 1 - 04. 2. 28)
05/04/12 - 06/02/28 교수
06/03/01 - 06/08/25 시간강사(본당신부 발령으로)
06/08/26 - 08/02/28 겸임교수
08/03/01 – 20/08/31 정교수
09/02/01 - 13. 1. 31.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가톨릭사상연구소장
13/02/01 - 13. 12. 5. 인성교양원 원장
09/03/01 – 20/07/31 대학원 종교학과장
14/01/01 – 19/08/31 인간과영성연구소 소장

<저서ㆍ역서>
1. 전헌호, “2천년대를 향한 여정에서 인간에의 연민”, 1991. 09, 분도출판사,
1-240, (저서).
2. 전헌호, 전나야, “온 사랑으로 . . . ”, 1992. 03, 미루나무, 1-152, (공저).
3. 전헌호, “교의와 교의신학(Einfuhrung in die Dogmatik, AlexandreGanoczy
저)”, 1993. 11, 분도출판사, 1-284, (역서).
4. 전헌호, “배부른 소크라테스”, 1994. 03, 미루나무, 1-144, (저서).
5. 전헌호 외 7인, “창조질서 보존을 위한 환경, 생명학 개론, 1995. 03,
천주교 대구대교구 사목국 가정, 생명, 환경 담당, 1-182 중 5-33,(공저).
6. 전헌호, “넉넉함 가운데서의 삶(Leben in Fulle, Josef Weismayer 저)”
1996. 07, 분도출판사, 1-376, (역서).
7. 전헌호, 종교학과 학생들, “천사와 악마는 어느 곳에?”, 1997. 10,
미루나무, 1-302, (공저).
8. 전헌호 외 29인, “자유와 고독의 항아리”, 敎授水筆選, 1997. 12,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23-131, (수필집).
9. 전헌호, 자연환경?인간환경; 환경문제 분석과 문제극복을 위한그리스도교적 처방,
성바오로, 1998. 02, 1-376, (저서).
10. 전헌호 외 다수, 하나를 주고 둘을 받았습니다; 대구대교구 빈첸시오회
활동사례집, 성바오로, 1998. 05, 1-270, (공저).
11. 전헌호, 보시오, 당신의 어머니시오; 묵주기도 15단 묵상, 성바오로,
1998. 09, 1-56, (역서, 소책자).
12. - ,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미사 성제를 위한 기도, 성바오로,
1998. 09, 1-45, (역서, 소책자).
13. - , 너희는 걱정하지 말라; 아플 때 드리는 기도, 성바오로, 1998. 09,1-63,
(역서, 소책자).
14. - , 하느님의 작품; 창조의 신비에 관하여, 성바오로, 1998. 09. 1-44,
(역서, 소책자).
15. 전헌호, 꼬머 호숫가에서 보낸 편지들; 기술과 인간, Romano Guardini 저,
성바오로, 1998. 10. 15, 1-152, (역서).
16. 전헌호 외 다수, 내일을 위하여 어제와 같이 오늘도 . . .,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9, 2. 20, 1-170, (공저).
17. - , 불완전한 인간과 힘, Romano Guardini 저, 성바오로,
1999. 03. 25, 1-216 (역서).
18. - , 마리아; 주님의 어머니, 교회의 어머니, 성바오로, 1999, 06, 19, 1-40.
(역서, 소책자).
19. - , 거룩한 갈망; 환경과 영성, 성바오로, 1999. 08. 30, 1-328, (저서).
20. - , 다시 찾은 기쁨,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1999. 08. 30, 1-216(역서).
21. - , 태양을 먹고사는 아이들, 가톨릭출판사, 1999. 10. 11, 1-160 (저서).
22. - , 아래로부터의 영성, Anselm Grun 저, 분도출판사, 1999. 12. 01.
1-152 (역서).
23. - , 다시 찾은 마음의 평안,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0, 5. 15.
1-286 (역서).
24.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초기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0. 11. 20, 1-162 (역서).
25. - , 참 소중한 나,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0. 12. 214 (역서).
26.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중세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1. 4. 4, 1-219 (역서).
27. - , 사랑의 집,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01. 11. 5, 1-184 (역서).
28. - , 상대성 이론과 예수의 부활, 가톨릭출판사, 01. 12. (저서).
29.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근세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2. 02. 09. 1-162 (역서).
30.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근세 후기와 현대 교회,
Josef Weismayer 외, 가톨릭출판사, 2002. 04. 20. 1-176 (역서).
31. - , 식물이 여행을 포기한 까닭은?, 가톨릭출판사, 2002. 05. 05,1-200 (저서).
32. - , 행복한 선물, Das kleine Buch vom wahren Gluck,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2, 8, 27, 1-192 (역서)
33. - , 디다케에서 아우구스티노까지, 가톨릭출판사, 2002. 12. 20, 1-294(역서).
34. - , 쉬고싶은 당신에게, 성바오로, 2003. 2. 28, 1-230 (역서).
35. 전헌호 외 6인, 참 삶의 길,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03. 3. 1.1-232(저서).
36. 전헌호, 펠라지오에서 시메온까지, 가톨릭출판사, 2003. 5. 26.1-280(역서).
37. - , 좋은 밤 좋은 잠, 성바오로, 2003. 9. 8, 1-240(역서).
38. - , 브루노에서 보나벤투라까지, 가톨릭출판사, 2003. 12. 5. 1-280(역서).
39. - , 카발리스트에서 미란돌라까지, 2004. 1. 30. 1-278(역서).
40. - , 외 10인,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4. 2. 13.
572 쪽 중 197-232(저서).
41. - , 내가 우주보다 더 위대하다고?, 함께읽는책, 2004. 4. 1-160쪽(저서).
42. - , 에라스무스에서 프란치스코 드 살까지, 가톨릭출판사, 2004. 4. 28.
1-234(역서)
43. - , 베륄에서 알폰소까지, 2004. 12. 10. 1-200(역서).
44. - ,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들; 땅, 태양, 공기, 물, 식물, 지구,
꿈이있는세상, 2005. 9. 7. 1-156(저서).
45. - , 사는 것이 즐겁다, 안셀름 그륀 저, 안톤 리히테나우어 엮음, 성바오로,
2005. 11. 9. 1-255(역서).
46. - , 게르하르트에서 부버까지, 가톨릭출판사, 2005. 12. 28. 1-274(역서).
47. - , 인생은 낙원이다, 노스랏 페세쉬키안 저, 성바오로, 2006. 8. 30.
1-222(역서).
48. - , 손넨샤인에서 슈타인까지, 가톨릭출판사, 2006. 11. 25.1-205(역서).
49. - , 슈나이더에서 베이유까지, 가톨릭출판사, 2007. 5. 25.1-260(역서)
50. - , 카레토에서 성령 쇄신 운동까지, 가톨릭출판사, 2007. 6. 28.1-251(역서)
51. - , 사랑 안에서 나를 찾다, 안셀름 그륀 저(사랑의 집 재편집),
성바오로 2007. 8. 15. 1-248(역서)
52. - , 인간, 그 전모; 인간 본질에 관한 통합적 연구, 위즈앤비즈, 2007. 8. 30.
1-510(저서)
53. - , 영혼을 위한 숨돌림, 피에르 스툿츠 저, 성바오로, 2007. 10. 7.1-178(역서)
54. - , 넓은 곳을 향한 나의 길, 안셀름 그륀 저, 성서와 함께, 2007. 11. 2.
1-288(역서)
55. - , 환경과 함께 살아요, 기탄교육, 2008. 2. 25. 1-40(저서)
56. - , 신나는 지구 한 바퀴, 기탄교육, 2008. 2. 25. 1-40(저서)
57. - , 원칙과 변칙 그리고 반칙, 장락, 2008. 3. 10. 1-216(저서)
58. - , 가능성과 한계, 위즈엔비즈, 2011. 3. 15. 1-592(저서)
59. - , 나를 위한 시간, 바오로딸, 2011. 7. 15. 1-224(역서)
60. - , 우리의 식탁은 얼마나 풍족할까?, 가교출판, 2012. 3. 27.
1-120(저서, 전헌호·김영호 글, 박연옥, 그림)
61. - , 예수 1, 클라우스 베르거 저, 성바오로, 2012. 12. 25, 1-590(역서)
62. - , 예수 2, 클라우스 베르거 저, 성바오로, 2013. 11. 15, 1-510(역서)
63. - , 내면의 멜로디, 안셀름 그륀 저, 안톤리히테나우어 엮음,
(사는 것이 즐겁다 재편집), 2014. 2. 20, 1-224(역서)
64. - , 사랑의 신비를 통한 치유, 2015. 10. 15, 1-106(역서)
65. - 외 22, 생태문명 생각하기; 내 삶을 바꾸는 환경철학,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엮음, 크레파스북 출판사, 2018. 2. 1. 1-760 중 383-413.
66. - 과학문명 시대의 기도, 위즈엔비즈, 2019. 11. 5. 1-208.

<논문>
1. 전헌호, “Gott suchen in allen Dingen”, 1987. 01, 오스트리아 Wien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76.
2. 전헌호, “Sorge um den Menschen”, 1990. 06, 오스트리아 Wien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27.
3. 전헌호, “공해 문제 의식에 관한 고찰”, 1994. 04, 현대가톨릭사상 10호, 73-88.
4. 전헌호, “환경 문제에 관한 신학적 소고”, 1994. 09, 신학전망 106호, 156-175.
5. 전헌호, “그리스도교 인간관”, 1994. 12, 사목 191호, 89-121.
사목연구총서 8, 79-112.
6. 전헌호, “환경 오염의 주범 중의 하나인 소비 문화 극복을 위한 제언”,
1995. 12, 전례와 선포, 수원 가톨릭 대학교 출판부, 697-720.
7. 전헌호, “환경 문제에 관한 교회의 발표가 환경 문제 극복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1996. 02, 대구효성가톨릭 대학교 연구논문집, 77-96.
한국종교학회지, 종교연구 12집, 1996년 11, 1, 85-124.
8. 전헌호, “식량 자급율 30%에 대한 고찰과 그 극복을 위한 제언”, 1996. 05
현대가톨릭 사상 14호, 31-59.
9. - , “자연의 생명을 편드는 성서”, 1996. 05. 성서와 함께 24권 242호, 95-101.
10. 전헌호, “로욜라의 이냐시오 靈性의 핵심인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을 찾기’에
대한 考察”, 1996. 12, 신학전망 115호, 95-130.
11. 전헌호, “그리스도교는 자연과 화해할 수 있는가?”, 1997. 10.
사목 225호, 6-14.
12. 전헌호, “환경문제와 생명수호를 위한 교회의 가르침과의 갈등 극복을 위한
提言”, 1997. 12, 신학전망 119호, 94-121.
13. - , “생태학적 위기의 현대인과 교회 그리고 미래”, 1998. 02. 인문과학연구
창간호, 187-198.
14. - ,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으로서의 내적 자세의 길”, 공동연구(류영주),
1998. 02. 가톨릭교육연구 제8집, 231-243.
15. - , “고통과 지구 생태계의 한계성”, 가톨릭신학과 사상 제25호, 129-161,
1998. 09.
16. - , “자연과 정들이기”, 2,000. 05. 영성생활 제19호, 35-44.
17. -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본 예수의 부활과 승천, 가톨릭신학과 사상
제32호, 120-150, 2000. 06.
18. - ,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과르디니의 Askese, 2,000. 07. 01. 현대가톨릭사상
제22호, 95-124.
19. - , 생태계의 생명부양 능력과 그리스도교의 역할, 2001. 12. 현대가톨릭사상,
제25호.
20. - , 환경문제와 환경영성으로서의 Askese, 2001. 12. 가톨릭신학과 사상, 38호.
21. - ,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21세기 환경영성, 2002. 5. 1. 현대가톨릭사상,
제26호, 49-76.
22. - , 유전자 조작 식품(GMO)의 정체와 식량 문제의 본질, 2002. 12.
가톨릭신학과 사상, 42호.
23. - , 거시세계와 미시 세계 사이의 인간과 신앙, 2003. 2. 15. 누리와 말씀,
12호, 18-68.
24. - , 종교의 자유와 자연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2003. 6. 15. 현대가톨릭사상,
제28호, 185-218.
25. - , 번역의 이론, 2003. 12. 1. 가톨릭사상, 제29호, 471-505.
26. - , 번역과 통역의 실제, 2004. 5. 30. 가톨릭사상, 제30호, 179-208.
27. - , 로마노 과르디니의 인간관, 2004. 6. 30. 가톨릭신학, 4호, 41-78.
28. - , 몸에 관한 우주적 고찰, 2004. 12. 1. 가톨릭사상, 제31호, 133-166.
29. - , 뇌 과학에서 본 뇌의 정보전달 방법과 기능, 2005. 5. 31. 가톨릭 사상,
제 32호, 195-229.
30. - , 뇌 과학에서 본 두뇌의 구조와 작용원리, 2005. 6. 30. 가톨릭신학,
제6호, 167-210.
31. - , 뇌 과학에서 본 뇌 능력 개발과 뇌?정신 질환, 2005. 12. 30. 가톨릭사상,
제33호, 171-208.
32. - , 뇌 과학에서 본 영혼과 마음의 근원 문제, 2005. 12. 30. 가톨릭신학,
제7호.
33. - , 영혼, 정신, 마음의 정체, 2006. 12. 가톨릭사상, 제34호.
34. - , 육체와 영혼의 관계, 2007. 7. 가톨릭사상, 제35호.
35. - , 지역에서의 종교 간 대화의 현실과 전망, 2008. 6. 가톨릭사상, 제37호.
36. - , 과학문명 시대와 기도, 2008. 12. 가톨릭사상, 제38호.
37. - , 죽음과 천국에 관한 21세기적 고찰, 가톨릭사상, 제39호.
38. - , 기도하기 위한 마음의 준비, 가톨릭사상, 제40호.
39. - , 삶과 죽음에 미치는 지구 내부사정에 관한 신학적 고찰, 가톨릭사상, 제40호.
40. - , 기도의 시간과 자세 그리고 효과, 가톨릭사상 제44호.
41. - , Wien 교회를 통해서 본 가톨릭교회의 실상과 미래 전망, 가톨릭신학,
2014 여름, 24호.
42. - ,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지구 생태계 법칙 그리고 우리나라 사정,
가톨릭 사상, 2016, 여름 52호.
43. - , 무아 방유룡 신부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가톨릭사상 2017, 55호.
44. - , 과학과 신학, 가톨릭사상 2018 후기, 57호.
45. - , 과학시대와 신앙생활, 새천년복음과연구소 논문집 10권, 2020.
46. 김두진, 전헌호, 인격적 감정 이해, 가톨릭신학, 36호 2020.

<포상>
1998. 8. 6. 문화관광부 장관, 자연환경, 인간환경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1998. 12. 18. 환경부 장관, 자연환경, 인간환경 우수환경도서로 선정
2004. 5. 15.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공로표창 (많은 수의 저서와 역서로 학교에 공헌을 했다는 이유로)
2004. 8월 문화관광부 장관, 이동익, 김정우, 전헌호 외 다수 공저인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를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2004. 9월 과학기술부, 한국과학문화재단, <내가 우주보다 더 위대하다고?>를 우수과학도서로 선정.
2006. 12. 13. 환경부 장관,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들> 우수환경도서 선정.
2012. 2. 15. 서울대교구, <가능성과 한계>로 제6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2012. 11. 27. <가능성과 한계>로 제16회 가톨릭학술상 수상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