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헌호
- 연구실
- 예로니모관 C7-206
- 전화번호
- 053-850-3059
- 이메일
- hhchun@cu.ac.kr
- 전공분야
- 영성신학, 환경신학, 인간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사항>
74/03 - 78/02; 서울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신학사,
81/03 - 82/02; 서울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연구과,
82/10 - 87/02;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신학부, 신학석사,
87/03 - 90/06;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신학부, 신학박사,
<경력사항>
교외경력
04/10/14 - 08/01/31; 대구외국어대학교 관선이사 선임
06/02/28 - 08/02/14; 성바울로성당 주임신부
06/06/01 - 12/02/28; 경북대학교 생명의학연구소 심사위원(IRB)
10/11/01 - 13/06/30; 가톨릭신학회 회장
06/01/01 – 15/06/30; 환경과학회 평의원
12/06/01 – 15/06/30;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교내경력
91/09/01 - 93/02/28; 효성여자대학교 강사,
93/03/01 - 95/03/31; 종교학과 전임강사,
95/04/01 - 99/03/31; 종교학과 조교수,
99/04/01 - 05/04/11; 부교수
97/03/01 - 99/02/28; 종교학과장
98/03/02 - 99/11/30; 가톨릭교육연구소(교책연구소) 소장
03/03/02 - 종교사회복지학전공 주임
03/03/15 - 가톨릭사상연구소 소장
03/03/01 - 산학연협동위원회 위원 (임기: 2003. 3. 1 - 04. 2. 28)
05/04/12 - 06/02/28 교수
06/03/01 - 06/08/25 시간강사(본당신부 발령으로)
06/08/26 - 08/02/28 겸임교수
08/03/01 – 20/08/31 정교수
09/02/01 - 13. 1. 31.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가톨릭사상연구소장
13/02/01 - 13. 12. 5. 인성교양원 원장
09/03/01 – 20/07/31 대학원 종교학과장
14/01/01 – 19/08/31 인간과영성연구소 소장
<저서ㆍ역서>
1. 전헌호, “2천년대를 향한 여정에서 인간에의 연민”, 1991. 09, 분도출판사,
1-240, (저서).
2. 전헌호, 전나야, “온 사랑으로 . . . ”, 1992. 03, 미루나무, 1-152, (공저).
3. 전헌호, “교의와 교의신학(Einfuhrung in die Dogmatik, AlexandreGanoczy
저)”, 1993. 11, 분도출판사, 1-284, (역서).
4. 전헌호, “배부른 소크라테스”, 1994. 03, 미루나무, 1-144, (저서).
5. 전헌호 외 7인, “창조질서 보존을 위한 환경, 생명학 개론, 1995. 03,
천주교 대구대교구 사목국 가정, 생명, 환경 담당, 1-182 중 5-33,(공저).
6. 전헌호, “넉넉함 가운데서의 삶(Leben in Fulle, Josef Weismayer 저)”
1996. 07, 분도출판사, 1-376, (역서).
7. 전헌호, 종교학과 학생들, “천사와 악마는 어느 곳에?”, 1997. 10,
미루나무, 1-302, (공저).
8. 전헌호 외 29인, “자유와 고독의 항아리”, 敎授水筆選, 1997. 12,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23-131, (수필집).
9. 전헌호, 자연환경?인간환경; 환경문제 분석과 문제극복을 위한그리스도교적 처방,
성바오로, 1998. 02, 1-376, (저서).
10. 전헌호 외 다수, 하나를 주고 둘을 받았습니다; 대구대교구 빈첸시오회
활동사례집, 성바오로, 1998. 05, 1-270, (공저).
11. 전헌호, 보시오, 당신의 어머니시오; 묵주기도 15단 묵상, 성바오로,
1998. 09, 1-56, (역서, 소책자).
12. - ,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미사 성제를 위한 기도, 성바오로,
1998. 09, 1-45, (역서, 소책자).
13. - , 너희는 걱정하지 말라; 아플 때 드리는 기도, 성바오로, 1998. 09,1-63,
(역서, 소책자).
14. - , 하느님의 작품; 창조의 신비에 관하여, 성바오로, 1998. 09. 1-44,
(역서, 소책자).
15. 전헌호, 꼬머 호숫가에서 보낸 편지들; 기술과 인간, Romano Guardini 저,
성바오로, 1998. 10. 15, 1-152, (역서).
16. 전헌호 외 다수, 내일을 위하여 어제와 같이 오늘도 . . .,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9, 2. 20, 1-170, (공저).
17. - , 불완전한 인간과 힘, Romano Guardini 저, 성바오로,
1999. 03. 25, 1-216 (역서).
18. - , 마리아; 주님의 어머니, 교회의 어머니, 성바오로, 1999, 06, 19, 1-40.
(역서, 소책자).
19. - , 거룩한 갈망; 환경과 영성, 성바오로, 1999. 08. 30, 1-328, (저서).
20. - , 다시 찾은 기쁨,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1999. 08. 30, 1-216(역서).
21. - , 태양을 먹고사는 아이들, 가톨릭출판사, 1999. 10. 11, 1-160 (저서).
22. - , 아래로부터의 영성, Anselm Grun 저, 분도출판사, 1999. 12. 01.
1-152 (역서).
23. - , 다시 찾은 마음의 평안,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0, 5. 15.
1-286 (역서).
24.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초기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0. 11. 20, 1-162 (역서).
25. - , 참 소중한 나,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0. 12. 214 (역서).
26.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중세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1. 4. 4, 1-219 (역서).
27. - , 사랑의 집,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01. 11. 5, 1-184 (역서).
28. - , 상대성 이론과 예수의 부활, 가톨릭출판사, 01. 12. (저서).
29.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근세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2. 02. 09. 1-162 (역서).
30.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근세 후기와 현대 교회,
Josef Weismayer 외, 가톨릭출판사, 2002. 04. 20. 1-176 (역서).
31. - , 식물이 여행을 포기한 까닭은?, 가톨릭출판사, 2002. 05. 05,1-200 (저서).
32. - , 행복한 선물, Das kleine Buch vom wahren Gluck,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2, 8, 27, 1-192 (역서)
33. - , 디다케에서 아우구스티노까지, 가톨릭출판사, 2002. 12. 20, 1-294(역서).
34. - , 쉬고싶은 당신에게, 성바오로, 2003. 2. 28, 1-230 (역서).
35. 전헌호 외 6인, 참 삶의 길,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03. 3. 1.1-232(저서).
36. 전헌호, 펠라지오에서 시메온까지, 가톨릭출판사, 2003. 5. 26.1-280(역서).
37. - , 좋은 밤 좋은 잠, 성바오로, 2003. 9. 8, 1-240(역서).
38. - , 브루노에서 보나벤투라까지, 가톨릭출판사, 2003. 12. 5. 1-280(역서).
39. - , 카발리스트에서 미란돌라까지, 2004. 1. 30. 1-278(역서).
40. - , 외 10인,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4. 2. 13.
572 쪽 중 197-232(저서).
41. - , 내가 우주보다 더 위대하다고?, 함께읽는책, 2004. 4. 1-160쪽(저서).
42. - , 에라스무스에서 프란치스코 드 살까지, 가톨릭출판사, 2004. 4. 28.
1-234(역서)
43. - , 베륄에서 알폰소까지, 2004. 12. 10. 1-200(역서).
44. - ,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들; 땅, 태양, 공기, 물, 식물, 지구,
꿈이있는세상, 2005. 9. 7. 1-156(저서).
45. - , 사는 것이 즐겁다, 안셀름 그륀 저, 안톤 리히테나우어 엮음, 성바오로,
2005. 11. 9. 1-255(역서).
46. - , 게르하르트에서 부버까지, 가톨릭출판사, 2005. 12. 28. 1-274(역서).
47. - , 인생은 낙원이다, 노스랏 페세쉬키안 저, 성바오로, 2006. 8. 30.
1-222(역서).
48. - , 손넨샤인에서 슈타인까지, 가톨릭출판사, 2006. 11. 25.1-205(역서).
49. - , 슈나이더에서 베이유까지, 가톨릭출판사, 2007. 5. 25.1-260(역서)
50. - , 카레토에서 성령 쇄신 운동까지, 가톨릭출판사, 2007. 6. 28.1-251(역서)
51. - , 사랑 안에서 나를 찾다, 안셀름 그륀 저(사랑의 집 재편집),
성바오로 2007. 8. 15. 1-248(역서)
52. - , 인간, 그 전모; 인간 본질에 관한 통합적 연구, 위즈앤비즈, 2007. 8. 30.
1-510(저서)
53. - , 영혼을 위한 숨돌림, 피에르 스툿츠 저, 성바오로, 2007. 10. 7.1-178(역서)
54. - , 넓은 곳을 향한 나의 길, 안셀름 그륀 저, 성서와 함께, 2007. 11. 2.
1-288(역서)
55. - , 환경과 함께 살아요, 기탄교육, 2008. 2. 25. 1-40(저서)
56. - , 신나는 지구 한 바퀴, 기탄교육, 2008. 2. 25. 1-40(저서)
57. - , 원칙과 변칙 그리고 반칙, 장락, 2008. 3. 10. 1-216(저서)
58. - , 가능성과 한계, 위즈엔비즈, 2011. 3. 15. 1-592(저서)
59. - , 나를 위한 시간, 바오로딸, 2011. 7. 15. 1-224(역서)
60. - , 우리의 식탁은 얼마나 풍족할까?, 가교출판, 2012. 3. 27.
1-120(저서, 전헌호·김영호 글, 박연옥, 그림)
61. - , 예수 1, 클라우스 베르거 저, 성바오로, 2012. 12. 25, 1-590(역서)
62. - , 예수 2, 클라우스 베르거 저, 성바오로, 2013. 11. 15, 1-510(역서)
63. - , 내면의 멜로디, 안셀름 그륀 저, 안톤리히테나우어 엮음,
(사는 것이 즐겁다 재편집), 2014. 2. 20, 1-224(역서)
64. - , 사랑의 신비를 통한 치유, 2015. 10. 15, 1-106(역서)
65. - 외 22, 생태문명 생각하기; 내 삶을 바꾸는 환경철학,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엮음, 크레파스북 출판사, 2018. 2. 1. 1-760 중 383-413.
66. - 과학문명 시대의 기도, 위즈엔비즈, 2019. 11. 5. 1-208.
<논문>
1. 전헌호, “Gott suchen in allen Dingen”, 1987. 01, 오스트리아 Wien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76.
2. 전헌호, “Sorge um den Menschen”, 1990. 06, 오스트리아 Wien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27.
3. 전헌호, “공해 문제 의식에 관한 고찰”, 1994. 04, 현대가톨릭사상 10호, 73-88.
4. 전헌호, “환경 문제에 관한 신학적 소고”, 1994. 09, 신학전망 106호, 156-175.
5. 전헌호, “그리스도교 인간관”, 1994. 12, 사목 191호, 89-121.
사목연구총서 8, 79-112.
6. 전헌호, “환경 오염의 주범 중의 하나인 소비 문화 극복을 위한 제언”,
1995. 12, 전례와 선포, 수원 가톨릭 대학교 출판부, 697-720.
7. 전헌호, “환경 문제에 관한 교회의 발표가 환경 문제 극복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1996. 02, 대구효성가톨릭 대학교 연구논문집, 77-96.
한국종교학회지, 종교연구 12집, 1996년 11, 1, 85-124.
8. 전헌호, “식량 자급율 30%에 대한 고찰과 그 극복을 위한 제언”, 1996. 05
현대가톨릭 사상 14호, 31-59.
9. - , “자연의 생명을 편드는 성서”, 1996. 05. 성서와 함께 24권 242호, 95-101.
10. 전헌호, “로욜라의 이냐시오 靈性의 핵심인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을 찾기’에
대한 考察”, 1996. 12, 신학전망 115호, 95-130.
11. 전헌호, “그리스도교는 자연과 화해할 수 있는가?”, 1997. 10.
사목 225호, 6-14.
12. 전헌호, “환경문제와 생명수호를 위한 교회의 가르침과의 갈등 극복을 위한
提言”, 1997. 12, 신학전망 119호, 94-121.
13. - , “생태학적 위기의 현대인과 교회 그리고 미래”, 1998. 02. 인문과학연구
창간호, 187-198.
14. - ,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으로서의 내적 자세의 길”, 공동연구(류영주),
1998. 02. 가톨릭교육연구 제8집, 231-243.
15. - , “고통과 지구 생태계의 한계성”, 가톨릭신학과 사상 제25호, 129-161,
1998. 09.
16. - , “자연과 정들이기”, 2,000. 05. 영성생활 제19호, 35-44.
17. -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본 예수의 부활과 승천, 가톨릭신학과 사상
제32호, 120-150, 2000. 06.
18. - ,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과르디니의 Askese, 2,000. 07. 01. 현대가톨릭사상
제22호, 95-124.
19. - , 생태계의 생명부양 능력과 그리스도교의 역할, 2001. 12. 현대가톨릭사상,
제25호.
20. - , 환경문제와 환경영성으로서의 Askese, 2001. 12. 가톨릭신학과 사상, 38호.
21. - ,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21세기 환경영성, 2002. 5. 1. 현대가톨릭사상,
제26호, 49-76.
22. - , 유전자 조작 식품(GMO)의 정체와 식량 문제의 본질, 2002. 12.
가톨릭신학과 사상, 42호.
23. - , 거시세계와 미시 세계 사이의 인간과 신앙, 2003. 2. 15. 누리와 말씀,
12호, 18-68.
24. - , 종교의 자유와 자연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2003. 6. 15. 현대가톨릭사상,
제28호, 185-218.
25. - , 번역의 이론, 2003. 12. 1. 가톨릭사상, 제29호, 471-505.
26. - , 번역과 통역의 실제, 2004. 5. 30. 가톨릭사상, 제30호, 179-208.
27. - , 로마노 과르디니의 인간관, 2004. 6. 30. 가톨릭신학, 4호, 41-78.
28. - , 몸에 관한 우주적 고찰, 2004. 12. 1. 가톨릭사상, 제31호, 133-166.
29. - , 뇌 과학에서 본 뇌의 정보전달 방법과 기능, 2005. 5. 31. 가톨릭 사상,
제 32호, 195-229.
30. - , 뇌 과학에서 본 두뇌의 구조와 작용원리, 2005. 6. 30. 가톨릭신학,
제6호, 167-210.
31. - , 뇌 과학에서 본 뇌 능력 개발과 뇌?정신 질환, 2005. 12. 30. 가톨릭사상,
제33호, 171-208.
32. - , 뇌 과학에서 본 영혼과 마음의 근원 문제, 2005. 12. 30. 가톨릭신학,
제7호.
33. - , 영혼, 정신, 마음의 정체, 2006. 12. 가톨릭사상, 제34호.
34. - , 육체와 영혼의 관계, 2007. 7. 가톨릭사상, 제35호.
35. - , 지역에서의 종교 간 대화의 현실과 전망, 2008. 6. 가톨릭사상, 제37호.
36. - , 과학문명 시대와 기도, 2008. 12. 가톨릭사상, 제38호.
37. - , 죽음과 천국에 관한 21세기적 고찰, 가톨릭사상, 제39호.
38. - , 기도하기 위한 마음의 준비, 가톨릭사상, 제40호.
39. - , 삶과 죽음에 미치는 지구 내부사정에 관한 신학적 고찰, 가톨릭사상, 제40호.
40. - , 기도의 시간과 자세 그리고 효과, 가톨릭사상 제44호.
41. - , Wien 교회를 통해서 본 가톨릭교회의 실상과 미래 전망, 가톨릭신학,
2014 여름, 24호.
42. - ,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지구 생태계 법칙 그리고 우리나라 사정,
가톨릭 사상, 2016, 여름 52호.
43. - , 무아 방유룡 신부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가톨릭사상 2017, 55호.
44. - , 과학과 신학, 가톨릭사상 2018 후기, 57호.
45. - , 과학시대와 신앙생활, 새천년복음과연구소 논문집 10권, 2020.
46. 김두진, 전헌호, 인격적 감정 이해, 가톨릭신학, 36호 2020.
<포상>
1998. 8. 6. 문화관광부 장관, 자연환경, 인간환경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1998. 12. 18. 환경부 장관, 자연환경, 인간환경 우수환경도서로 선정
2004. 5. 15.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공로표창 (많은 수의 저서와 역서로 학교에 공헌을 했다는 이유로)
2004. 8월 문화관광부 장관, 이동익, 김정우, 전헌호 외 다수 공저인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를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2004. 9월 과학기술부, 한국과학문화재단, <내가 우주보다 더 위대하다고?>를 우수과학도서로 선정.
2006. 12. 13. 환경부 장관,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들> 우수환경도서 선정.
2012. 2. 15. 서울대교구, <가능성과 한계>로 제6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2012. 11. 27. <가능성과 한계>로 제16회 가톨릭학술상 수상
74/03 - 78/02; 서울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신학사,
81/03 - 82/02; 서울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연구과,
82/10 - 87/02;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신학부, 신학석사,
87/03 - 90/06;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신학부, 신학박사,
<경력사항>
교외경력
04/10/14 - 08/01/31; 대구외국어대학교 관선이사 선임
06/02/28 - 08/02/14; 성바울로성당 주임신부
06/06/01 - 12/02/28; 경북대학교 생명의학연구소 심사위원(IRB)
10/11/01 - 13/06/30; 가톨릭신학회 회장
06/01/01 – 15/06/30; 환경과학회 평의원
12/06/01 – 15/06/30;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교내경력
91/09/01 - 93/02/28; 효성여자대학교 강사,
93/03/01 - 95/03/31; 종교학과 전임강사,
95/04/01 - 99/03/31; 종교학과 조교수,
99/04/01 - 05/04/11; 부교수
97/03/01 - 99/02/28; 종교학과장
98/03/02 - 99/11/30; 가톨릭교육연구소(교책연구소) 소장
03/03/02 - 종교사회복지학전공 주임
03/03/15 - 가톨릭사상연구소 소장
03/03/01 - 산학연협동위원회 위원 (임기: 2003. 3. 1 - 04. 2. 28)
05/04/12 - 06/02/28 교수
06/03/01 - 06/08/25 시간강사(본당신부 발령으로)
06/08/26 - 08/02/28 겸임교수
08/03/01 – 20/08/31 정교수
09/02/01 - 13. 1. 31. 신학대학장, 신학대학원장, 가톨릭사상연구소장
13/02/01 - 13. 12. 5. 인성교양원 원장
09/03/01 – 20/07/31 대학원 종교학과장
14/01/01 – 19/08/31 인간과영성연구소 소장
<저서ㆍ역서>
1. 전헌호, “2천년대를 향한 여정에서 인간에의 연민”, 1991. 09, 분도출판사,
1-240, (저서).
2. 전헌호, 전나야, “온 사랑으로 . . . ”, 1992. 03, 미루나무, 1-152, (공저).
3. 전헌호, “교의와 교의신학(Einfuhrung in die Dogmatik, AlexandreGanoczy
저)”, 1993. 11, 분도출판사, 1-284, (역서).
4. 전헌호, “배부른 소크라테스”, 1994. 03, 미루나무, 1-144, (저서).
5. 전헌호 외 7인, “창조질서 보존을 위한 환경, 생명학 개론, 1995. 03,
천주교 대구대교구 사목국 가정, 생명, 환경 담당, 1-182 중 5-33,(공저).
6. 전헌호, “넉넉함 가운데서의 삶(Leben in Fulle, Josef Weismayer 저)”
1996. 07, 분도출판사, 1-376, (역서).
7. 전헌호, 종교학과 학생들, “천사와 악마는 어느 곳에?”, 1997. 10,
미루나무, 1-302, (공저).
8. 전헌호 외 29인, “자유와 고독의 항아리”, 敎授水筆選, 1997. 12,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23-131, (수필집).
9. 전헌호, 자연환경?인간환경; 환경문제 분석과 문제극복을 위한그리스도교적 처방,
성바오로, 1998. 02, 1-376, (저서).
10. 전헌호 외 다수, 하나를 주고 둘을 받았습니다; 대구대교구 빈첸시오회
활동사례집, 성바오로, 1998. 05, 1-270, (공저).
11. 전헌호, 보시오, 당신의 어머니시오; 묵주기도 15단 묵상, 성바오로,
1998. 09, 1-56, (역서, 소책자).
12. - ,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미사 성제를 위한 기도, 성바오로,
1998. 09, 1-45, (역서, 소책자).
13. - , 너희는 걱정하지 말라; 아플 때 드리는 기도, 성바오로, 1998. 09,1-63,
(역서, 소책자).
14. - , 하느님의 작품; 창조의 신비에 관하여, 성바오로, 1998. 09. 1-44,
(역서, 소책자).
15. 전헌호, 꼬머 호숫가에서 보낸 편지들; 기술과 인간, Romano Guardini 저,
성바오로, 1998. 10. 15, 1-152, (역서).
16. 전헌호 외 다수, 내일을 위하여 어제와 같이 오늘도 . . .,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9, 2. 20, 1-170, (공저).
17. - , 불완전한 인간과 힘, Romano Guardini 저, 성바오로,
1999. 03. 25, 1-216 (역서).
18. - , 마리아; 주님의 어머니, 교회의 어머니, 성바오로, 1999, 06, 19, 1-40.
(역서, 소책자).
19. - , 거룩한 갈망; 환경과 영성, 성바오로, 1999. 08. 30, 1-328, (저서).
20. - , 다시 찾은 기쁨,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1999. 08. 30, 1-216(역서).
21. - , 태양을 먹고사는 아이들, 가톨릭출판사, 1999. 10. 11, 1-160 (저서).
22. - , 아래로부터의 영성, Anselm Grun 저, 분도출판사, 1999. 12. 01.
1-152 (역서).
23. - , 다시 찾은 마음의 평안,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0, 5. 15.
1-286 (역서).
24.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초기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0. 11. 20, 1-162 (역서).
25. - , 참 소중한 나,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0. 12. 214 (역서).
26.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중세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1. 4. 4, 1-219 (역서).
27. - , 사랑의 집, Anselm Grun 저, 성바오로 01. 11. 5, 1-184 (역서).
28. - , 상대성 이론과 예수의 부활, 가톨릭출판사, 01. 12. (저서).
29.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근세 교회, JosefWeismayer 외 저,
가톨릭출판사, 2002. 02. 09. 1-162 (역서).
30. - , 교회의 영성을 빛낸 수도회 창설자: 근세 후기와 현대 교회,
Josef Weismayer 외, 가톨릭출판사, 2002. 04. 20. 1-176 (역서).
31. - , 식물이 여행을 포기한 까닭은?, 가톨릭출판사, 2002. 05. 05,1-200 (저서).
32. - , 행복한 선물, Das kleine Buch vom wahren Gluck,Anselm Grun 저,
성바오로, 2002, 8, 27, 1-192 (역서)
33. - , 디다케에서 아우구스티노까지, 가톨릭출판사, 2002. 12. 20, 1-294(역서).
34. - , 쉬고싶은 당신에게, 성바오로, 2003. 2. 28, 1-230 (역서).
35. 전헌호 외 6인, 참 삶의 길,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03. 3. 1.1-232(저서).
36. 전헌호, 펠라지오에서 시메온까지, 가톨릭출판사, 2003. 5. 26.1-280(역서).
37. - , 좋은 밤 좋은 잠, 성바오로, 2003. 9. 8, 1-240(역서).
38. - , 브루노에서 보나벤투라까지, 가톨릭출판사, 2003. 12. 5. 1-280(역서).
39. - , 카발리스트에서 미란돌라까지, 2004. 1. 30. 1-278(역서).
40. - , 외 10인,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4. 2. 13.
572 쪽 중 197-232(저서).
41. - , 내가 우주보다 더 위대하다고?, 함께읽는책, 2004. 4. 1-160쪽(저서).
42. - , 에라스무스에서 프란치스코 드 살까지, 가톨릭출판사, 2004. 4. 28.
1-234(역서)
43. - , 베륄에서 알폰소까지, 2004. 12. 10. 1-200(역서).
44. - ,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들; 땅, 태양, 공기, 물, 식물, 지구,
꿈이있는세상, 2005. 9. 7. 1-156(저서).
45. - , 사는 것이 즐겁다, 안셀름 그륀 저, 안톤 리히테나우어 엮음, 성바오로,
2005. 11. 9. 1-255(역서).
46. - , 게르하르트에서 부버까지, 가톨릭출판사, 2005. 12. 28. 1-274(역서).
47. - , 인생은 낙원이다, 노스랏 페세쉬키안 저, 성바오로, 2006. 8. 30.
1-222(역서).
48. - , 손넨샤인에서 슈타인까지, 가톨릭출판사, 2006. 11. 25.1-205(역서).
49. - , 슈나이더에서 베이유까지, 가톨릭출판사, 2007. 5. 25.1-260(역서)
50. - , 카레토에서 성령 쇄신 운동까지, 가톨릭출판사, 2007. 6. 28.1-251(역서)
51. - , 사랑 안에서 나를 찾다, 안셀름 그륀 저(사랑의 집 재편집),
성바오로 2007. 8. 15. 1-248(역서)
52. - , 인간, 그 전모; 인간 본질에 관한 통합적 연구, 위즈앤비즈, 2007. 8. 30.
1-510(저서)
53. - , 영혼을 위한 숨돌림, 피에르 스툿츠 저, 성바오로, 2007. 10. 7.1-178(역서)
54. - , 넓은 곳을 향한 나의 길, 안셀름 그륀 저, 성서와 함께, 2007. 11. 2.
1-288(역서)
55. - , 환경과 함께 살아요, 기탄교육, 2008. 2. 25. 1-40(저서)
56. - , 신나는 지구 한 바퀴, 기탄교육, 2008. 2. 25. 1-40(저서)
57. - , 원칙과 변칙 그리고 반칙, 장락, 2008. 3. 10. 1-216(저서)
58. - , 가능성과 한계, 위즈엔비즈, 2011. 3. 15. 1-592(저서)
59. - , 나를 위한 시간, 바오로딸, 2011. 7. 15. 1-224(역서)
60. - , 우리의 식탁은 얼마나 풍족할까?, 가교출판, 2012. 3. 27.
1-120(저서, 전헌호·김영호 글, 박연옥, 그림)
61. - , 예수 1, 클라우스 베르거 저, 성바오로, 2012. 12. 25, 1-590(역서)
62. - , 예수 2, 클라우스 베르거 저, 성바오로, 2013. 11. 15, 1-510(역서)
63. - , 내면의 멜로디, 안셀름 그륀 저, 안톤리히테나우어 엮음,
(사는 것이 즐겁다 재편집), 2014. 2. 20, 1-224(역서)
64. - , 사랑의 신비를 통한 치유, 2015. 10. 15, 1-106(역서)
65. - 외 22, 생태문명 생각하기; 내 삶을 바꾸는 환경철학,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엮음, 크레파스북 출판사, 2018. 2. 1. 1-760 중 383-413.
66. - 과학문명 시대의 기도, 위즈엔비즈, 2019. 11. 5. 1-208.
<논문>
1. 전헌호, “Gott suchen in allen Dingen”, 1987. 01, 오스트리아 Wien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76.
2. 전헌호, “Sorge um den Menschen”, 1990. 06, 오스트리아 Wien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27.
3. 전헌호, “공해 문제 의식에 관한 고찰”, 1994. 04, 현대가톨릭사상 10호, 73-88.
4. 전헌호, “환경 문제에 관한 신학적 소고”, 1994. 09, 신학전망 106호, 156-175.
5. 전헌호, “그리스도교 인간관”, 1994. 12, 사목 191호, 89-121.
사목연구총서 8, 79-112.
6. 전헌호, “환경 오염의 주범 중의 하나인 소비 문화 극복을 위한 제언”,
1995. 12, 전례와 선포, 수원 가톨릭 대학교 출판부, 697-720.
7. 전헌호, “환경 문제에 관한 교회의 발표가 환경 문제 극복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1996. 02, 대구효성가톨릭 대학교 연구논문집, 77-96.
한국종교학회지, 종교연구 12집, 1996년 11, 1, 85-124.
8. 전헌호, “식량 자급율 30%에 대한 고찰과 그 극복을 위한 제언”, 1996. 05
현대가톨릭 사상 14호, 31-59.
9. - , “자연의 생명을 편드는 성서”, 1996. 05. 성서와 함께 24권 242호, 95-101.
10. 전헌호, “로욜라의 이냐시오 靈性의 핵심인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을 찾기’에
대한 考察”, 1996. 12, 신학전망 115호, 95-130.
11. 전헌호, “그리스도교는 자연과 화해할 수 있는가?”, 1997. 10.
사목 225호, 6-14.
12. 전헌호, “환경문제와 생명수호를 위한 교회의 가르침과의 갈등 극복을 위한
提言”, 1997. 12, 신학전망 119호, 94-121.
13. - , “생태학적 위기의 현대인과 교회 그리고 미래”, 1998. 02. 인문과학연구
창간호, 187-198.
14. - ,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처방으로서의 내적 자세의 길”, 공동연구(류영주),
1998. 02. 가톨릭교육연구 제8집, 231-243.
15. - , “고통과 지구 생태계의 한계성”, 가톨릭신학과 사상 제25호, 129-161,
1998. 09.
16. - , “자연과 정들이기”, 2,000. 05. 영성생활 제19호, 35-44.
17. -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본 예수의 부활과 승천, 가톨릭신학과 사상
제32호, 120-150, 2000. 06.
18. - ,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과르디니의 Askese, 2,000. 07. 01. 현대가톨릭사상
제22호, 95-124.
19. - , 생태계의 생명부양 능력과 그리스도교의 역할, 2001. 12. 현대가톨릭사상,
제25호.
20. - , 환경문제와 환경영성으로서의 Askese, 2001. 12. 가톨릭신학과 사상, 38호.
21. - ,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21세기 환경영성, 2002. 5. 1. 현대가톨릭사상,
제26호, 49-76.
22. - , 유전자 조작 식품(GMO)의 정체와 식량 문제의 본질, 2002. 12.
가톨릭신학과 사상, 42호.
23. - , 거시세계와 미시 세계 사이의 인간과 신앙, 2003. 2. 15. 누리와 말씀,
12호, 18-68.
24. - , 종교의 자유와 자연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2003. 6. 15. 현대가톨릭사상,
제28호, 185-218.
25. - , 번역의 이론, 2003. 12. 1. 가톨릭사상, 제29호, 471-505.
26. - , 번역과 통역의 실제, 2004. 5. 30. 가톨릭사상, 제30호, 179-208.
27. - , 로마노 과르디니의 인간관, 2004. 6. 30. 가톨릭신학, 4호, 41-78.
28. - , 몸에 관한 우주적 고찰, 2004. 12. 1. 가톨릭사상, 제31호, 133-166.
29. - , 뇌 과학에서 본 뇌의 정보전달 방법과 기능, 2005. 5. 31. 가톨릭 사상,
제 32호, 195-229.
30. - , 뇌 과학에서 본 두뇌의 구조와 작용원리, 2005. 6. 30. 가톨릭신학,
제6호, 167-210.
31. - , 뇌 과학에서 본 뇌 능력 개발과 뇌?정신 질환, 2005. 12. 30. 가톨릭사상,
제33호, 171-208.
32. - , 뇌 과학에서 본 영혼과 마음의 근원 문제, 2005. 12. 30. 가톨릭신학,
제7호.
33. - , 영혼, 정신, 마음의 정체, 2006. 12. 가톨릭사상, 제34호.
34. - , 육체와 영혼의 관계, 2007. 7. 가톨릭사상, 제35호.
35. - , 지역에서의 종교 간 대화의 현실과 전망, 2008. 6. 가톨릭사상, 제37호.
36. - , 과학문명 시대와 기도, 2008. 12. 가톨릭사상, 제38호.
37. - , 죽음과 천국에 관한 21세기적 고찰, 가톨릭사상, 제39호.
38. - , 기도하기 위한 마음의 준비, 가톨릭사상, 제40호.
39. - , 삶과 죽음에 미치는 지구 내부사정에 관한 신학적 고찰, 가톨릭사상, 제40호.
40. - , 기도의 시간과 자세 그리고 효과, 가톨릭사상 제44호.
41. - , Wien 교회를 통해서 본 가톨릭교회의 실상과 미래 전망, 가톨릭신학,
2014 여름, 24호.
42. - , 회칙 <찬미받으소서>와 지구 생태계 법칙 그리고 우리나라 사정,
가톨릭 사상, 2016, 여름 52호.
43. - , 무아 방유룡 신부와 한국순교복자수녀회, 가톨릭사상 2017, 55호.
44. - , 과학과 신학, 가톨릭사상 2018 후기, 57호.
45. - , 과학시대와 신앙생활, 새천년복음과연구소 논문집 10권, 2020.
46. 김두진, 전헌호, 인격적 감정 이해, 가톨릭신학, 36호 2020.
<포상>
1998. 8. 6. 문화관광부 장관, 자연환경, 인간환경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1998. 12. 18. 환경부 장관, 자연환경, 인간환경 우수환경도서로 선정
2004. 5. 15. 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공로표창 (많은 수의 저서와 역서로 학교에 공헌을 했다는 이유로)
2004. 8월 문화관광부 장관, 이동익, 김정우, 전헌호 외 다수 공저인 <생명공학과 가톨릭 윤리>를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2004. 9월 과학기술부, 한국과학문화재단, <내가 우주보다 더 위대하다고?>를 우수과학도서로 선정.
2006. 12. 13. 환경부 장관,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들> 우수환경도서 선정.
2012. 2. 15. 서울대교구, <가능성과 한계>로 제6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2012. 11. 27. <가능성과 한계>로 제16회 가톨릭학술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