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및 조직] 허창구 교수
- 연구실
- 성야고보관(C12) 204-1호
- 전화번호
- 053-850-3231
- 이메일
- ckhur@cu.ac.kr
- 전공분야
- 인사선발, 역량평가,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추가정보 보기
[주요 경력]
- 2007.11 - 2011.04 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 2009.09 - 2016.11 신입사원 면접위원교육 강사(두산, 한화, SK)
- 2010.01 - 현재 한국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이사
- 2011.04 - 2012.06 (주)어세스먼트컨설팅그룹 수석연구원
- 2012.03 - 2012.06 대전대학교 산업광고심리학과 강의전담교수
- 2012.05 - 2013.02 (주)마음과 배움 심리학습센터 연구개발본부장
- 2012.07 - 2013.02 아주대학교 연구교수
- 2013.03 - 현재 공공기관 및 기업 고위직 역량평가 위원
[논문]
- 2023. 상사의 꼰대평가 우려가 피드백 회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5(6)
- 2022. COVID-19 팬더믹 시대의 채용트렌드, 비실시간 비대면 면접에서 면접관 영상 제공이 지원자 반응 및 인상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5(3)
- 2022. 채용시장의 뉴노멀, 비대면 면접에서 투명성과 경고메시지의 활용 지원자 반응 및 응답왜곡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5(2), 155-185.
- 2021. 대졸 신입사원의 지각된 과잉과소자격 발생원인 및 직무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21(4), 89-124.
- 2021. 재택근무 환경에서 고립감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와 정서적 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4(4), 663-696.
- 2021. 조직 내 배태성 향상과정에서 잡크래프팅과 팀응집력의 역할. 산업혁신연구, 37(2), 47-81.
- 2021.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4(2), 237-260.
- 2021. 완벽주의 성향이 대학생의 강점인식 및 자기계발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논총, 6(1), 31-63.
- 2020.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가정, 조직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3(3), 267-296.
- 2020. 대학생의 작은 사치동기가 역기능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21(2), 215-235.
- 2020. 스펙경쟁 사회에서 자기계발 동기와 자기계발 강박이 취업준비생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3(1), 93-117.
- 2019. 근무시간 외 업무관련 스마트폰 사용이 정서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2(2), 215-240.
- 2019.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 64-74.
- 2018. 직무환경요인이 학교급식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과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4), 254-264
- 2018. 스트레스상황 하에서정신생리적 반응을이용한 자아탄력성의작용기제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1), 99-125
- 2017. 간호사의환자관련 스트레스와직무탈진의 관계에서직무환경 요인의융합적 상호작용,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8), 105-114
- 2016. 학교급식조리종사원의 고객지향성이감정노동과 고객관련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대구•경북지역을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5(11)
- 2016. Exploring the Role of Jeong(情) as a Cultural Concept in Moden Organization, Korea Observer, 47(2), 325-361
- 2016. 임상간호사의 고객지향이직무열의에 미치는효과: LMX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11(1), 9-16
- 2016. 애착과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대인관게 문제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3),483-502
- 2016. 내현적•외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대인관게문제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30(1), 63-80
- 2015. 대구•경북일부지역 학교급식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직무 소진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4(4), 610-618
- 2014. 감정노동, 피할 수없을 때누가 즐길수 있는가. 자기감시의 조절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27(4), 719-742
- 2014. 이직연구에서 직무배태성 개념의 유효성: 메타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4), 743-779.
- 2014. 감정노동 장면에서 감정소진에 대한 내면행동의 조절효과: 인지부조화이론적 관점의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 2014.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고객관련스트레스 요인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6), 3524-3533.
- 2014. Fit Happen Globally, Personnel Psychology, 67, 99-152.
- 2013. 서비스 장면에서 감정이입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6권 4호 579-597
- 2012. 개인-직무 부합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 : LMX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5권 3호 535-556
- 2012. 기업 리더십 교육에서 반응과 학습 간의 관계: 개인차 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5권 2호 497-519
- 2011. 자기개방 정도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호 44-74
- 2011. 대학선발장면에서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구성개념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4권 4호 785-807
- 2011. 단축형 Holland 직업흥미검사를 이용한 육각형 모형의 구조적 가설검증,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4권 4호 695-718
- 2011. 서비스직 종업원의 정서노동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4권 2호 429-455
- 2010. 외향성과 신경증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 건강, 15권 3호 445-462
- 2010. 직무 요구와 자원이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3권 3호 503-523
- 2010. 성격 6요인과 과업수행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인사조직연구, 18권 3호 1-33
- 2010. 내재설계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3권 2호 225-249
- 2010.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탈진 및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차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 : 여성, 15권 1호 103-128
- 2007.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 건강, 12권 4호 905-921
- 2007. 심리적 수용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 심리적 수용의 직접효과 및 성격 5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심리학회 : 건강, 12권 3호 547-572
- 2007.11 - 2011.04 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 2009.09 - 2016.11 신입사원 면접위원교육 강사(두산, 한화, SK)
- 2010.01 - 현재 한국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이사
- 2011.04 - 2012.06 (주)어세스먼트컨설팅그룹 수석연구원
- 2012.03 - 2012.06 대전대학교 산업광고심리학과 강의전담교수
- 2012.05 - 2013.02 (주)마음과 배움 심리학습센터 연구개발본부장
- 2012.07 - 2013.02 아주대학교 연구교수
- 2013.03 - 현재 공공기관 및 기업 고위직 역량평가 위원
[논문]
- 2023. 상사의 꼰대평가 우려가 피드백 회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5(6)
- 2022. COVID-19 팬더믹 시대의 채용트렌드, 비실시간 비대면 면접에서 면접관 영상 제공이 지원자 반응 및 인상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5(3)
- 2022. 채용시장의 뉴노멀, 비대면 면접에서 투명성과 경고메시지의 활용 지원자 반응 및 응답왜곡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5(2), 155-185.
- 2021. 대졸 신입사원의 지각된 과잉과소자격 발생원인 및 직무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21(4), 89-124.
- 2021. 재택근무 환경에서 고립감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와 정서적 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4(4), 663-696.
- 2021. 조직 내 배태성 향상과정에서 잡크래프팅과 팀응집력의 역할. 산업혁신연구, 37(2), 47-81.
- 2021. 조절초점 조직문화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및 부정적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4(2), 237-260.
- 2021. 완벽주의 성향이 대학생의 강점인식 및 자기계발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논총, 6(1), 31-63.
- 2020.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가정, 조직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3(3), 267-296.
- 2020. 대학생의 작은 사치동기가 역기능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21(2), 215-235.
- 2020. 스펙경쟁 사회에서 자기계발 동기와 자기계발 강박이 취업준비생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3(1), 93-117.
- 2019. 근무시간 외 업무관련 스마트폰 사용이 정서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2(2), 215-240.
- 2019.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 64-74.
- 2018. 직무환경요인이 학교급식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과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4), 254-264
- 2018. 스트레스상황 하에서정신생리적 반응을이용한 자아탄력성의작용기제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1), 99-125
- 2017. 간호사의환자관련 스트레스와직무탈진의 관계에서직무환경 요인의융합적 상호작용,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8), 105-114
- 2016. 학교급식조리종사원의 고객지향성이감정노동과 고객관련스트레스에 미치는영향 -대구•경북지역을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5(11)
- 2016. Exploring the Role of Jeong(情) as a Cultural Concept in Moden Organization, Korea Observer, 47(2), 325-361
- 2016. 임상간호사의 고객지향이직무열의에 미치는효과: LMX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 11(1), 9-16
- 2016. 애착과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대인관게 문제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3),483-502
- 2016. 내현적•외현적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대인관게문제의 매개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30(1), 63-80
- 2015. 대구•경북일부지역 학교급식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직무 소진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4(4), 610-618
- 2014. 감정노동, 피할 수없을 때누가 즐길수 있는가. 자기감시의 조절효과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27(4), 719-742
- 2014. 이직연구에서 직무배태성 개념의 유효성: 메타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4), 743-779.
- 2014. 감정노동 장면에서 감정소진에 대한 내면행동의 조절효과: 인지부조화이론적 관점의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 2014.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고객관련스트레스 요인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6), 3524-3533.
- 2014. Fit Happen Globally, Personnel Psychology, 67, 99-152.
- 2013. 서비스 장면에서 감정이입이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6권 4호 579-597
- 2012. 개인-직무 부합과 직무탈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 : LMX의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5권 3호 535-556
- 2012. 기업 리더십 교육에서 반응과 학습 간의 관계: 개인차 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5권 2호 497-519
- 2011. 자기개방 정도가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호 44-74
- 2011. 대학선발장면에서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구성개념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4권 4호 785-807
- 2011. 단축형 Holland 직업흥미검사를 이용한 육각형 모형의 구조적 가설검증,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4권 4호 695-718
- 2011. 서비스직 종업원의 정서노동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4권 2호 429-455
- 2010. 외향성과 신경증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 건강, 15권 3호 445-462
- 2010. 직무 요구와 자원이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3권 3호 503-523
- 2010. 성격 6요인과 과업수행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인사조직연구, 18권 3호 1-33
- 2010. 내재설계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 : 산업 및 조직, 23권 2호 225-249
- 2010.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탈진 및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차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 : 여성, 15권 1호 103-128
- 2007. 정서노동과 직무탈진 :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 건강, 12권 4호 905-921
- 2007. 심리적 수용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 심리적 수용의 직접효과 및 성격 5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심리학회 : 건강, 12권 3호 547-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