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학과_84566873_s.jpg
의공학과_97335964_s.jpg
IMG_5738.JPG
IMG_5305.JPG
혈관조영장치 2.JPG

의료재활학과

Department of Biomedical Rehabilitation

이전 메인 배너 보기
다음 메인 배너 보기
  • action["image_no"]
  • action["image_no"]
  • action["image_no"]
  • action["image_no"]

의료재활학과, exbody 체형 교정기기 및 보행 분석기기 교육 실시

저희 의료재활학과는 지난 3월 13일 (목), 체형 교정학에 쓰일 exbody 회사의 체형 분석 및 보행 분석 기기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교육에서는 exbody 연구 교육팀의 윤경철 연구원분이 직접 방문 하셔서, 체형 분석 프로그램과 보행 분석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실습과 함께 설명해 주셨습니다.교육 들은 기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체형 프로그램 하드웨어 기기(exbody9100): 인체의 체형 불균형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교정이 필요한 부위를 평가 하는 기기2. 보행 분석 프로그램 하드웨어 기기(exbody6100): 보행 패턴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보행 이상을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기기윤경철 연구원분이 기기의 원리, 사용방법, 데이터 해석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해 주셨으며, 몇몇 학생들은 체형 프로그램 하드웨어 기기를 활용하여 직접 체험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직접 방문하여 설명해주신 엑스바디 마게팅 전략부 연구교육팀 윤경철 연구원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의료재활학과는 최신 기술과 장비를 활용한 실습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11월 생일을 축하합니다!

11월 생일자분들 생일을 축하드립니다!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과방에 있는 롤링페이퍼에 편지를 남겨주세요! 최고의 축하말을 적어주신 두 분께 상품을 전달해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의료재활학과 구수완, ‘재활보조기기 시제품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재활학과 구수완 학생과 계명대학교 의용공학과 김효민, 김상아, 김승현, 박혜령, 현명지, 구정훈학생으로 구성된 팀이 재활보조기기 시제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손 운동 기능 회복을 위한 EEG기반 수지 재활용 장갑의 구현’를 주제로 한 논문을 발표하여 2024년도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제 18회 정기학술대회 제활보조기기 시제품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

의료재활학과 학생팀, 제18회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정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의료재활학과 학생팀이 계명대에서 주최한 '초고령사회를 위한 스마트 재활복지공학의 역할과 미래'를 주제로 한  '2024 제18회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의료재활학과 3학년 박익규, 이기환 학생으로 학부생논문경진대회에 출전 '스마트 글라스에서의 맥박측정'과 '심탄도 맥박측정'을 주제로 각각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우수논문상을 수상한 이기환 학생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현장 실무에 적용해 논문 투고와 발표 경험을 쌓으면서 수상까지 하게 됐다"고 기뻐했다. 또, 박익규 학생은 "현장실습 경험을 살려 재활의료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기사링크>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106010003093

자세히 보기  ────
의료재활학과Department of Biomedical Rehabilitation

ABOUT US

의료재활학과
소개

의료재활학과 소개

Establishment 설립연도
2006
Students 학생 수
154
Professors 교원 수
3

첨단 의료재활산업을 선도하는 융합형 전문 인재 양성

인체 및 생명현상을 이학적 원리를 근간으로 공학적 기술을 적용하여 체계화시킨 실용학문으로써 고령층과 장애인 등과 같은 신체적 약자의 재활과 복지에 특화된 재활의료기기 및 보조기기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다학제 간 상호 유기적 협조를 필요로 하며 관련 과학기술의 총체적 학문으로써 의료장비 및 인공장기의 개발 등과 같은 미래지향적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하고, 국민 보건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직접 기여하고 미래 핵심 산업기술로써 막대한 잠재력을 지닌 분야입니다. 2006년도에 대구·경북권 내 최초로 설립된 학과로써 최첨단 의료재활기술인 의학영상, 생체역학, 의광학 및 진단 기술 등을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으며, 전공 학습 외에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인성, 창의성 그리고 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2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재활학과 취업률은 77.1%이다. (참조: 대학알리미)

Curriculum

교육과정

1학년 Freshman 1학기 1st semester 의료재활기초, 인체물리I, 대가길라잡이, 자기학습설계(Ⅰ), 자기학습설계(Ⅱ)
2학기 2nd semester 의료기기학개론, 인체물리II, 재활공학수학, 장애의 이해와 재활, 자기학습설계(Ⅰ), 자기학습설계(Ⅱ)
2학년 Sophomore 1학기 1st semester 해부생리학, 보조공학개론, 재활전자공학, 인지재활, 임상의학용어
2학기 2nd semester 재활 계측 및 데이터 분석, 컴퓨터 구조 및 응용, 의료광학기초, 임상생체역학, 의용전자회로I
3학년 Junior 1학기 1st semester 의료기기안전설계학, 광진단치료기기학, 재활의학영상I, 의용전자회로II, 체형교정학, 진로와 취업을 위한 전공별 직업윤리
2학기 2nd semester 보건의료법규및인허가, 재활스포츠운동역학, 의료기기 시뮬레이션, 재활의학영상II, 바이오생체계측및실험
4학년 Senior 1학기 1st semester 의료재활 캡스톤디자인, 스마트헬스기기, 보조공학 임상 및 사례
2학기 2nd semester 의료재활 현장실습
Scholarship

장학 및 지원

<학과 장학금>
성적과 학과 참여 포인트를 통한 학과장학금 및 스텔라장학금 지원
학부생 TA/RA 연구생 장학금 활성화를 통해 각 교수님별 연구보조 지원
국가 및 지방단체의 의료기기 관련 사업 참여를 통한 교육지원금 지원

- 그 외 다양한 장학금을 대학을 통해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예, 국가 장학금, 동문 장학금, 대구은행 장학금 등등)

Employment

졸업 후 진로

대학병원 및 중대형병원 의공기사 :병원 내 의료기기 운용 및 사후 관리, 의료용 기구 및 장비 설계, 제작 시험, 유지 보수, 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전문가 (고려대 안암병원,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동산병원 등)
(재활)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 (재활)의료기기 개발 계획 수립 및 개발 방법에 대한 전략 수립, 진행 방법 기획, 연구용 기자재 관리, 도면 관리, 품질 관리 등 전반적인 연구 관리 업무 수행, (재활)의료기기 검사 및 점검 (의료기기 글러벌 대기업(올림푸스, 지멘스 헬스니어 등), 중견 또는 중소기업(오스템임플란트, 메가젠임플란트, 덴티스, DK메디컬솔루션 등))
(재활)의료기기 소프트웨어 QA 엔지니어 : (재활)의료기기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관리, (재활)의료기기의 안전성과 효과성 검증, 품질관리 프로세스 개발 및 효과성 모니터링, (재활)의료기기의 잠재적인 위험 식별 및 평가
의료기기 규제과학 (RA) 전문가 : 의료기기의 개발부터 제품화 및 시판 후 관리 등에 필요한 ‘법적·과학적 규제 기준’에 대한 전반적 지식을 갖추고, 허가·심사 자료 작성 등 의료기기의 인허가, 생산·품질 관리 관련 업무 총괄 및 규제 당국과의 의사소통 창구 역할 담당
(재활)의료기기 기술영업 : 의료용 장비의 사용법, 유지 보수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병원에 필요한 의료용 장비 지원
공공기관 연구원 : (재활)의료기기 관련 공공기관 및 국책 연구소에서 연구 개발 업무 수행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원자력의학원, 질병관리청, 식품의약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국내외 대학원 진학(DGIST, UNIST, 대구가톨릭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재활)의료기기 관련 회사 창업

Acquisitionable certificate

취득가능 자격증

의공(산업)기사, 의료기기 규제과학 (RA) 전문가, 의료정보기사, 전기(산업)기사, 연구실안전관리사, 정보처리(산업)기사, 광학기사, 보조공학사, 빅데이터 분석기사,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ADsP), 데이터 분석 전문가 (ADP), CSWA (Certified SOLIDWORKS Associate) 등

Employment status for 3 years

최근 3년간 진로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