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Professor

_

강상묵(학과장)

연구실
C13-412
전화번호
053-850-3417
이메일
smkang73@cu.ac.kr
전공분야
관광학

추가정보 보기

학력 및 경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호텔경영학과(관광학 박사)
한국관광산업학회 부회장, 편집위원장
한국관광경영연구원 상임이사
관광경영학회 상임이사
한국서비스산업학회 상임이사
조달청 제안서 평가위원
대구광역시 문화관광해설사 배치심사위원
한국장학재단 채용심의위원
미래비전 2030 위원회 위원(민선7기 대구시장 인수위)

저서 및 보고서
서비스기업의 인적자원관리, 2016.
관광마케팅, 2014.
호텔경영학, 2007.
전라북도 축제 현황 분석, (유)하나광고, 2020.
서울시내 호텔산업의 환경 분석, ㈜네스티안, 2017.
의성세계연축제 평가 및 발전방안연구, 의성군, 2015. 외 다수

연구논문
호텔 종사원의 그릿과 잡크래프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2021.
호텔의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가 라포와 고객참여행동 및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2021.
호텔 종사원의 그릿과 잡크래프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Tourism Research, 2020.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2020.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교류기억체계가 심리적 안전감과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관광경영연구, 2019.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2019.
항공사 객실승무원 팀의 특성이 교류기억체계(TMS)와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류기억체계의 매개효과, 관광경영연구, 2019.
호텔종사원의 조직기반자존감이 조직정체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2018.
호텔 종사원이 지각하는 비인격적인 감독행위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2018.
호텔 조직 내 상사의 비인격적인 감독행위가 종사원의 정서적 고갈과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고갈의 매개효과와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2017.
호텔레스토랑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의 매개효과와 전환비용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2017.
호텔레스토랑 고객가치가 고객희생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2017. 외 다수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
_

김동일

연구실
성예로니모관 C7- 439
전화번호
053-850-3214
이메일
kdi307@cu.ac.kr
전공분야
문화사회학

추가정보 보기

<관심분야>
문화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개념화하거나 사회학적 개념을 미학화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문화는 그저 고상한 교양이 아니라 끊임없이 부정되고 생성되어야 하는 대상이다. 문화는 단순히 천재들의 비범한 영감의 소산이 아니라 사회적 이해로 변환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이라는 관점을 갖고 있다. 문화는 사회를 변동시키는 엔진이며 문화에 관해 사회학적으로 사고하고 쓴다는 것 자체가 이미 문화적 행위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하우저, 단토, 라투르 등이 서로 교차하고 이탈하는 지점을 가늠하면서 문화사회학, 예술과 사회, 이미지로 사회읽기, 문화예술비평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학력 및 경력사항>
2009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졸업

<수상경력>
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1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부문 수상
2009 한국사회학회 우수논문상

<저서>
- 김동일 (2020), 『상징투쟁의 사회학: 예술가는 어떻게 세상을 바꿀까』,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동일 (2016), 『피에르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북스
- 김동일 (2010), 『예술을 유혹하는 사회학』, 갈무리
외 다수

<연구논문>
- 김민석, 남춘모, 김동일 (2020), “사회적 경제 영역에서 문화자본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 대구·경북의 사회적 경제 종사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10권 2호, 충북대 국제개발연구소, 79-113.

- 김동일 (2020), “당사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영화:임흥순의 최근 작업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권 1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21-254.
- 김동일 (2019), “참여와 체험 중심의 문화예술 교과목 설계-대구가톨릭대학교 <예술과 사회, 예술이 사회가 될 때>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12권 2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7-98.
- 김동일 (2019), “미술관의 사회적 존재론 - 미술관체제와 장소-관계의 예술 사이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65호,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85-94.
- 김동일 (2018), “김종영의 '불각'에 대한 상징투쟁론적 재해석”, 『미술사논단』 특별판, CAS한국미술연구소, 101-133.
- 김동일 (2018), “감성투쟁으로서의 민중미술 - 80년대 민중미술 그룹 ‘두렁’의 활동을 중심으로”, 『감성연구』 16호, 전남대 호남학연구소, 261-297.
- 김동일, 김강, 양정애 (2018), “의례로서의 민중미술: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80년대 민중미술의 재해석”, 『사회과학연구』 26권 1호,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0-89.
- 김동일 (2017), “복합장으로서의 공감장을 위한 제언”, 『감성연구』 15호, 전남대 호남학연구소, 31-55.
- 김동일, 김영경 (2016), “능동(能動)과 참여(參與)의 사회과학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 프로젝트> 교과목 개발 및운영 사례”, 『교양교육연구』 10권 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51-285.
- 김동일 (2016), “창의성의 사회학 : 스티브 잡스의 혁신에 관한 상징투쟁론적 재해석”, 『사고와 표현』 8권 1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50.
- 김동일, 지주형, 김경만 (2015), “한국의 문화장과 사회공간의 환류효과에 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리움, 대안공간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3권 2호,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54.
외 다수
추가정보 보기 페이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