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식

Gallery

[학과활동]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

날짜 :
2021-04-27
조회수 : 1100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1.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2.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3.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4.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5.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6.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7.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8.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9.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10.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11.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12.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13.jpg
[2019.11.01~11.02]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14.jpg

지난 11월, 도서관 2학년을 대상으로 '미래형 정보복지 도서관 공간 및 프로그램 체험' 특성화 사업이 1박 2일간 진행되었습니다.


첫번째 날에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정독도서관을 방문했습니다.

도서관의 기준이자 국가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도서관 구조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록의 발전과 역사와  대해서 배웠습니다. 다음으로 방문한 정독도서관은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소속 학교를 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한 사례로서, 그 내부를 확인하고 주 도서관들과 어떻게 다르고 비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두번째 날은 오산 꿈두레 도서관, 청주 고인쇄 박물관을 방문했습니다.

꿈두레 도서관은 주변이 탁 트여있고 독서 캠핑장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 도서관이며, 공공도서관인 만큼 다양한 연령대층을 위한 접근방식과 이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내부를 둘러보고 이용자들을 위해 어떤 의도로 구조들이 이루어져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흥덕사의 터가 위치한 청주에 세워진, 청주 고인쇄 박물관을 방문했습니다.

최초의 금속활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발행한 흥덕사와 직지를 모티브로 지어진 곳으로 인쇄술에 대한 전시를 상시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이 이틀동안의 체험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을 다시 상기시키고 견문을 넓힐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견학일정이 잘 진행되고  학생들 인솔과 함께 안전하게 잘 다녀올 수 있도록 많은 도움 주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